국토종주한강7구간 이포보-여주시외버스터미널까지 21.2km, 제2부 여주보문화관-여주시외버스터미널까지 7.6km
2017. 10/19 목요일
국토종주한강7구간은 이포대교-여주대교까지 19.1km이나, 교통편의상 들머리 이포보쉼터-이포대교까지 0.6km와 날머리인 여주대교-여주시외버스터미널까지 1.5km를 포함하여 이포보-여주시외버스터미널까지 21.2km로 한다.
course
이포보쉼터-이포보-이포대교(0.6km)-이포보오토캠핑장-광주원주고속도로.남한강대교(3.1km)-후포천.후포교(6.0km)-여주보전망대(3.2km)-여주보문화관-세종대교(3.8km)-여주시청-여주대교(3.0km/19.7km)-상동사거리-버스터미널사거리-여주시외버스터미널(1.5km/21.2km)
소요시간: 21.2km/5:40분, 평균속도(3.76km/시속)
여주보문화관
여주입암(驪州笠巖)
여주입암(驪州笠巖)은 조선시대 해동지도, 광여도 등에 여주팔경 중 제6경으로 소개됐고, 특히 상세지도인 1872년 지방도에는 입암(삿갓바위)이 층층이 쌓여 있는 형태로 묘사됐다.
입암이 시작되는 바위면 중앙에는 '笠巖'이란 글씨가 새겨져 있고, 당시 여주목사였던 이인응(李寅應), 당시 세력가인 민영목(閔泳穆) 등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또 '경오막추각(庚午莫秋刻)'이라 새겨져 있어 경오년(1870년) 늦은 가을에 글씨를 새긴 것임을알 수 있다.
세종대교.양섬입구
하리보도교
대로사(大老祠).강한사(江漢祠)
대로사(大老祠).강한사(江漢祠)는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정치가인 우암 송시열의 뜻을 기리고 제사지내기 위해 지은 사당이다.
송시열은 일생을 주자학 연구에 몰두한 대선비로 생원시에 합격하여 영의정까지 지냈다.
정조 9년(1785)에 왕이 김양행에게 사당을 짓게 하고, 송시열에 대한 존칭인 '대로(大老)'의 명칭을 붙여 사당 이름을 ‘대로사’라고 하였다.
그 뒤 고종 10년(1873) 10월에 ‘강한사’라 개칭하였다.
고종 8년(1871) 흥선대원군이 전국의 서원을 철거할 때 송시열을 모시던 44개의 서원이 모두 헐렸으나 오직 대로사만이 강한사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남게 되었다.
점심식사(1시간/13,000원)
여주시 강변로 116(강변도로 시청옆) 해솔참나무집(031-881-3568)에서 등갈비찜(10,000원), 막걸리(3,000원) 등으로 점심식사를 한다.
여주대교
여주대교아래에서 오른쪽으로 빙그르 돌아 도로에 올라서 왼쪽으로 꺽어져 상동사거리를 지나고, 버스터미널사거리에서 다시 오른쪽으로 꺽어지면 여주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여주대교-여주시외버스터미널까지(1.5km)
여주시외버스터미널
국토종주한강8구간 여주시외버스터미널-부론면사무소까지 24.1km길잡이
'2017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중랑천 송정제방길 한양대역-장한평역까지 4.8km 2017. 10/28 (0) | 2017.11.13 |
---|---|
양주 나리공원천일홍축제 2017. 10/22 (0) | 2017.10.30 |
국토종주한강7구간 21.2km, 제1부 이포보-여주보문화관까지 13.6km 2017. 10/19 (0) | 2017.10.29 |
국토종주한강7구간 21.2km길잡이 2017. 10/19 (0) | 2017.10.29 |
국토종주한강6구간 15.17km, 제2부 양덕리마을회관-이포대교까지 7.27km 2017. 10/17 (0) | 2017.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