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성읍민속마을 성읍1리정류장(서문)-성읍민속마을삼거리까지 2.5km
2019. 03/16 토요일
제주성읍마을은 조선조 태종10년(1410년) 성산읍 고성리에 설치되었던 정의현청이 조선조 세종5년(1423년) 이곳으로 옮겨진 이래 500여 년간 현청소재지였던 유서 깊은 마을이다.
원래 정의현은 태종 16년(1416년) 안무사 오식의 건의에 따라 성산읍 고성리에 정의종을 축성 하였었으나, 현청이 동쪽에 너무 치우쳐 행정상 불편할 뿐만 아니라 태풍의 피해가 잦고 또한 우도가 가까이 있어 외적으로 부터의 침입이 빈번하였으므로 안무사 전관이 건의하여 세종5년(1423년), 당시 진사리(현 표선면 성읍리)로 현치를 옮기게 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일명 진사성이라고도 불리었던 정의성은 축성을 시작한지 5일 만인 세종5년 정월13일에 총 둘레 2,986척, 높이 13척의 규모로 완공되었는데, 성에는 동서남으로 세 개의 문을 두었고 성안에는 두 곳의 우물이 있었다.
숙종28년(1702년) 이형상 목사의 「탐라순력도」에 의하면 정의현의 당시 민가 호수가 1436호, 전답이 140결, 성수비군이 664명, 말 1,178필, 흑우 228수를 보유할 정도의 상당히 번성하였던 읍성이었던 것만은 확실하다.
1423년 이후부터는 약 5세기 동안 정의현의 도읍지로 번성하였던 성읍은 평범한 농촌마을의 길로 접어들었다. 그러다가 다시 1915년 5월1일부로 제주군제도 마저 폐지되고 도제가 실시되면서 정의고을이었던 성읍은 표선면 면소재지로 전락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성읍마을은 그 역사적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며 문화재적 차원에서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그리하여 제주도지정 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되었고, 이어 1984년 6월 총 1,425필지 3,191,711㎡의 면적이 중요민속자료 188호 국가지정문화제로 승격되었으며, 1987년 9월에는 보호구역이 935호 국가지정문화제로 승격되었으며, 1987년 9월에는 보호구역이 935필지(790,747㎡)로 축소 조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제주성읍마을 http://www.jeju.go.kr/seongeup/index.htm
제주성읍민속마을 성읍1리정류장(서문)-성읍민속마을삼거리까지 2.5km/1:15분
course
성읍1리버스정류장(서문)-성읍성서문-정의향교-고창환고택-정의현객사-성읍성남문-고평오고택-성읍성동문-한봉일고택-성읍성객주-근민헌-느티나무와팽나무-마당터-성읍성북문-성읍민속마을사거리-성읍민속마을관람초가-성읍민속마을삼거리
소요시간: 2.5km/1:15분, 평균속도(2.0km/시속), 점심식사(1시간)
성읍민속마을안내도
성읍1리버스정류장
성읍1리에서 내려 뒤로돌아 30여m지점 성읍슈퍼사거리에서 왼쪽으로 꺽어져 제주성읍마을서문으로 진입, 성읍마을을 일주한다.
성읍성서문
정의향교
고창환고택
정의현객사
성읍성남문
고평오고택
성읍성동문
한봉일고택
성읍마을객주
근민헌
성읍성마방터
점심식사(1시간/23,000원)
성읍성북문으로 빠져나가 오른쪽에 있는 성읍민속마을 성읍칠십리삭당(064-787-0911)에서 흑돼지목오겹살(180g/18,000원), 막걸리(4,000원), 공기밥(1,000원) 등으로 점심식사를 한다.
⑤영주산 성읍민속마을삼거리-영주산-성읍민속마을사거리까지 왕복5.2km
'2019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오름.금악오름.검은오름 4.2km 2019. 03/17 (0) | 2019.04.17 |
---|---|
영주산 왕복5.2km 2019. 03/16 (0) | 2019.04.17 |
따라비오름 왕복8.3km 2019. 03/16 (0) | 2019.04.17 |
한라산어승생악 왕복4.6km 2019. 03/15 (0) | 2019.04.14 |
말미오름(두산봉) 6.2km 2019. 03/15 (0) | 2019.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