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누리길1구간 강화누리길 강화돌모루-성동검문소까지 10.0km길잡이
2020. 07/14 화요일
비가 내린 다음날, 잔뜩 흐린 날씨에 오늘은 평화누리길 강화돌모루-고성통일전망대까지 551km중에서 제1구간 강화나들길 강화돌모루-성동검문소까지 10.0km를 걷는다.
해안도로를 따라 서해바다를 바라보면서 걸을 수 있는 강화누리길은 바다와 역사가 만나는 곳이다. 광성보, 초지진, 갑곶돈대와 같은 전쟁유적지가 많아 외세로부터 나라를 지켰던 역사를 느낄 수 있다.
오늘 걷는 길은 강화누리길 강화돌모루-구)강화대교까지 7.2km로 평화누리길 강화돌모루-고성통일전망대까지 551km의 첫 번째 코스다.
그런데 필자가 실제 걷은 길은 교통편의상 돌모루버스정류소-구)강화대교를 건너 성동검문소버스정류소까지 인터넷지도를 기준으로 10.0km나 된다.
평화누리길(DMZIGI디엠지기) https://www.dmz.go.kr/
강화누리길 https://www.dmz.go.kr/korean/wantgo/nuri_detail
07:05 장기행정복지센터에서 88번 버스탑승
07:51 강화터미널에서 하차
08:25 강화터미널에서 10번 버스로 환승
강화터미널에서 10, 10A번 버스타고 종점인 도모루(대산종점)에서 하차
배차: 10번 강화터미널에서 08:05-20:40분까지 50-85분 간격운행
10A번 강화터미널에서 06:10, 19:00분 하루 2회운행
첫차: 강화터미널에서 10번(08:25, 08:55, 09:55..) 10A번(06:00분)
08:42 돌모루(대산종점)에서 하차
08:45-12:57(4:12분) 강화누리길 강화돌모루-성동검문소까지 10.0km/2:42분
course
돌모루버스정류소-숭릉천(락성교)-적두마을(월곳교회)-월곳리-연미정(2.7km)-월곳로터리-해안북로-용구물입구-고인돌클럽-강화군생활폐기물소각장-6.25참전용사기념공원-해운사입구-염주돈대-강화대교-조선수사해방학당본관터-갑곶순교성지(5.8km)-구)강화대교-성동검문소(1.5km)
소요시간: 10.0km/2:42분, 평균속도(3.80km/시속), 관광지관람(1:30분)
09:30-10:10 연미정(40분)
11:05-11:28 6.25참전용사기념공원(23분)
11:54-12:21 갑곶순교성지(27분) 등 총(1:30분)
13:06 성동검문소에서 96번 버스탑승
13:48 장기행정복지센터에서 하차
................................................................................................................................................................................................................................................
평화누리길 강화돌모루-고성통일전망대까지 551km
강화누리길 돌모루-구)강화대교까지 7.2km는 한반도의 중심인 동-서를 잇는 평화누리길 강화-고성통일전망대까지 551km의 첫 번째 코스다.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지역의 상징성을 가진 평화누리길은 2011년 7월27일 수립한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에 따라 2021년까지 총 551km가 조성된다.평화누리길은 비포장도로와 기존사용하고 있는 도로 및 폐 도로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동시에 군작전로를 활용하는 친환경적인 길(路)이다.
또한, 평화누리길은 평화, 안보, 생태, 역사 등을 연결한 접경 지역만이 제공할 수 있는 특화된 길(路)로 국내 뿐 아니라 세계 동호인이 오고 싶어 하는 명품브랜드로 조성된다.
평화누리길은 강화∽고성까지 10개 시군에 조성되어 있으며, 자연, 생태, 역사, 문화, 안보 등 시군별 차별화된 테마로 조성한다.
몽고항전 시 고려의 수도였던 강화는 그 이름만큼 많은 역사와 유적지가 남아있는 곳이고, 북한과 가장 가깝게 있는 김포에서는 분단의 철책을 볼 수 있으며, 강물과 바닷물이 서로 만나는 국내 유일습지(장항습지)가 있는 고양은 도심 속에서 자전거 타기에 좋은 곳이다. 안보, 역사, 문화 등을 모두 접할 수 있는 파주는 개성공단을 직접 볼 수 있으며, 10개 시 군 중 가장 긴 코스를 자랑하는 연천은 특히 한탄강과 주상절리를 감상할 수 있다.
철새도래지이자 두루미를 포함한 각종 철새의 보금자리로 유명한 철원과 고요한 북한강 위를 걷는 화천에서는 여름(다슬기축제)과 겨울(산천어축제)의 축제를 함께 즐길 수 있다.
사계절 다양한 종목의 체육대회가 있는 양구, 내설악절경을 볼 수 있는 인제, 맑은 날에는 금강산을 보고 동해 해안선을 따라 걷는 고성까지, 평화누리길은 접경지역만이 가질 수 있는 코스를 제공하고 있다.
연미정(燕尾亭)
연미정(燕尾亭)은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누정으로 1995년 3월 1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된 정자이다. 최초 건립연대는 정확히 나와 있지 않으나 임진왜란, 병자호란, 6.25전쟁을 거치며 여러 차례 시련을 겪고 파손된 것을 현재와 같이 복원하였다.
‘임진강과 염하강의 모양이 제비꼬리 같다‘하여 연미정(燕尾亭)이라 이름이 붙여졌으며 월곶돈대 꼭대기에 세워져 있어 파주, 김포시, 황해도 개풍군 일대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마니산, 전등사, 보문사와 함께 강화팔경의 하나로 손꼽히며 연미정에서 맞는 달맞이가 일품이다. 최근 연미정을 둘러싼 월곶돈대, 월곶진의 복원공사 기간이라 다소 어수선하지만 역사적 고난의 장소인 연미정에서 바라보는 탁 트인 바다의 풍광과 수백 년 된 정자나무가 운치를 더한다.[DAUM백과]
염주돈대(念珠墩臺)
염주돈대(念珠墩臺)는 병자호란 뒤 강화도 해안지역의 방어를 튼튼히 하기 위하여 해안선을 따라 축조한 강화 54돈대 중 하나로 염주돈대는 갑곶돈대, 제승돈대, 망해돈대와 8문의 대포를 설치한 갑곶포대와 제물진에 소속되었고 강화외성과 연결되었다.
구)강화대교(江華大橋)
구)강화대교(江華大橋)는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와 김포시 월곶면 성내리를 연결한 길이 694m의 다리로 1965년 7월에 착공하여 1970년 1월에 개통되었다. 1997년 12월 새로운 강화대교가 준공되면서 이 다리는 폐쇄되었는데, 2018년 하반기부터 일반인이 걸어서 건널 수 있도록 개방했다.
2001년 8월에 초지대교(草芝大橋)가 준공되기 전까지 육로로 강화도에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다리였다.[DAUM백과]
조선수사해방학당본관터
1893년 고종은 해군장교를 양성하기 위해 ‘조선수사해방학당(朝鮮水師海防學堂)’을 강화도에 설치했다.
이에 앞서 1892년 12월에 영국총영사에게 해군교관파견을 요청하고, 1893년 3월에는 해군학교설치령도 반포했다. 경기와 인천연안의 방비를 총괄하는 군영의 명칭을 해연총제영(海沿總制營)으로 바꿨다.
15세 이상과 20세 이하의 생도 38명과 수병 300여 명을 모집해 정식 개교한 후 먼저 영어교육을 받게 했고, 군사교관으로는 영국정부로부터 콜웰 대위와 조교 커티스 하사가 파견돼 본격적인 군사훈련을 시작했다. -이하생략-
문화경제소식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uleco&logNo=220931799940
갑곶순교성지
강화도는 단군신화가 시작되는 곳으로 고려시대 때부터 조선에 이어 일제시대까지 항쟁의 역사가 서린 지역으로 고려궁지, 강화산성, 강화해협을 따라 외세와 치열하게 전투를 했던 갑곶돈대, 초지진, 광성보 등의 문화유적지가 즐비한 곳이다.
갑곶순교성지는 흥선대원군이 프랑스에서 선교목적으로 파견한 신부들을 학살하고 박해했다는 이유로 프랑스함대가 강화도로 침입하여 전쟁을 벌였다. 프랑스함대가 물러간 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박해는 극심해지면서 역사상 가장 암울했던 병인박해가 시작된다.
갑곶순교성지는 병인박해로 인해 최인서, 장치선, 최순복, 박상손, 우윤집 등이 갑곶 진두에서 군문효수형으로 순교한 곳이다. 또한 이들 순교자들의 시신을 수습하고 순교자들의 행적 등을 정리한 증거자 박순집의 묘소가 안장된 곳이다.
갑곶순교성지 http://www.gabgot.com/
갑곶순교성지홈
■ 후원회 계좌 ㆍ국민 : 252101-04-025366 인천교구갑곶성지 ㆍ농협 : 195-01-177728 인천교구천주교회 갑곶성지
gabgot.com
필자는 한반도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평화누리길 강화 돌모루-고성 통일전망대까지 551km가 만들어지기 전에 이미 DMZ평화누리길 김포대명항-연천신탄리역까지 182.3km를 걸은 바 있다.
이미 만들어진 DMZ평화누리길 김포대명항-연천신탄리역까지 182.3km의 김포1구간은 시점인 대명항-문수산성입구까지 15.4km이고, 이제 만들고 있는 평화누리길 강화돌모루-고성통일전망대까지 551km의 제1코스는 시점인 강화돌모루-구)강화대교까지 7.2km로 서로 다르다.
고로, 오늘은 한반도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평화누리길 제1코스 강화돌모루-구)강화대교까지 7.2km를 걷는데, 교통편의상 필자가 임의 재설정한 길로 강화돌모루-성동검문소까지 10.0km나 된다.
그런데 평화누리길1코스 강화돌모루-성동검문소까지 10.0km중에서 연미정-구)강화대교까지 5.8km는 강화나들길1코스 심도역사문화길 강화터미널-갑곶돈대까지 18km와 일부 겹치는 구간으로 필자는 이 구간을 이미 걸은바 있고, 구)강화대교가 개방되면서 구)강화대교-성동검문소까지 1.5km도 이미 걸은 바 있다.
사진보기
DMZ평화누리길 김포대명항-연천신탄리역까지 182.3km http://blog.daum.net/sansol/2544?category=1922106
강화나들길 http://blog.daum.net/sansol/2336?category=1922106
해파랑길 http://blog.daum.net/sansol/2767?category=1922106
서해랑길 http://blog.daum.net/sansol/3687?category=1922106
4대강국토종주길 http://blog.daum.net/sansol/3953?category=1922106
평화누리길1구간 강화누리길 10.0km, 제1부 강화돌모루-6.25참전용사기념공원까지 7.0km
평화누리길1구간 강화누리길 10.0km, 제1부 강화돌모루-6.25참전용사기념공원까지 7.0km 2020. 07/14
평화누리길1구간 강화누리길 강화돌모루-성동검문소까지 10.0km, 제1부 강화돌모루-6.25참전용사기념공원까지 7.0km 2020. 07/14 화요일 비가 내린 다음날, 잔뜩 흐린 날씨에 오늘은 평화누리길 강화�
blog.daum.net
'202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화누리길1구간 강화누리길 10.0km, 제2부 6.25참전용사기념공원-성동검문소까지 3.0km 2020. 07/14 (0) | 2020.08.05 |
---|---|
평화누리길1구간 강화누리길 10.0km, 제1부 강화돌모루-6.25참전용사기념공원까지 7.0km 2020. 07/14 (0) | 2020.08.05 |
서울중구 중림동손기정둘레길 7.5km, 제2부 7018서울로공원-충정로역까지 2.5km 2020. 07/11 (0) | 2020.08.02 |
서울중구 중림동손기정둘레길 7.5km, 제1부 서울역(서부)-7018서울로공원까지 5.0km 2020. 07/1 (0) | 2020.08.02 |
김포 천주교인천교구 김포성당둘레길 1.6km 2020. 07/08 (0) | 202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