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제주도가을여행 길잡이 2020. 10/20-27 7박8일

산솔47 2020. 11. 5. 15:06

이 가을에 혼자 떠난 제주도여행

2020. 10/20.27 78

 

 

2020년 가을, 코로나19로 우울한 마음을 달래기 위한 가을여행으로 제주도여행을 다녀오고자 한다. 201903/13.19 67일간의 제주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8개의 오름여행을 다녀온 이후 17개월만이다.

작년에 오름여행을 하면서 하루의 여유가 있어 비양도섬둘레길 5.6km를 걸은 바 있는데, 섬 여행에서 아주 좋은 인상을 받은 바 있어 이번여행은 주로 제주도의 섬을 찾아 돌아보기로 한다.

 

여행일정

1(10/20)

    김포공항-제주공항, 차귀도둘레길 1.96km/1시간

    제주올레17코스 용두암올레길 3.7km/1:55

2(10/21)

    운진항일출과 방파제 왕복2.5km/1:20

    제주올레10-1코스 가파도올레길 5.0km/1:30

3(10/22)

    천지연폭포 왕복1.5km/22, 천제연폭포 왕복2.5km/45

    제주들불축제장 새별오름 3.6km/54

    제주올레18코스 사라봉올레길 4.8km/1:23

    제주목관아.관덕정(23)

4(10/23)

    교래삼다수숲 길 12.3km/4:10, 도두봉 2.0km/1시간

5(10/24)

    한라산석굴암 왕복5.0km/2:02, 제주시시티투어

6(10/25)

    한라산돈내코코스 15.8km/6:44

7(10/26)

    제주올레18-1코스 추자도올레길 11.0km/3:06

8(10/27)

    제주공항-김포공항

 

숙박업소: 제주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 오른쪽에 럭키장여관(064-751-2727)

사용경비: 369,000(78)

             항공운임: 제주항공(1599-1500) 왕복(30,800)

             숙 박 비: 15,000/1×7=105,000원(100,000원)

             식 사 비: /커피포함(138,500)

             교 통 비: 택시비포함(54,100)

             여객선비: 섬여행(45,600)

 

출발일시: 10/20() 06:25 김포공항에서 제주행 제주항공(101) 탑승

.....................................................................................................................................................................................................................................................

 

 

110/20()

06:25 김포공항에서 제주행 제주항공(101) 탑승(16,900)

        제주항공(1599-1500) https://www.jejuair.net/jejuair/kr/main.do

07:35 제주공항 도착

08:30 제주공항14번게이트에서 고산환승정류장으로 가는 서귀포행 102번 급행버스탑승(2,000)+할증(400)

        =2,400

09:41 고산환승정류장에서 하차(1:11)

09:49 고산환승정류장-차귀포구까지 1.8km 택시탑승(택시비3,300)

        한경콜택시(064-772-1818)

        교통정보

        고산환승정류장에서 내려 뒤로돌아 고산육거리에서 대각선으로 횡단보도를 건너 육거리식당 옆에 있는 고산1

        육거리버스정류장에서 771-1, 771-2번 버스타고 차귀포구에서 내린다. 배차간격(하루 22)

09:52 차귀포구에서 하차(3)

 

 

제주도 섬 속의 섬 차귀도둘레길 1.96km

1970년대 까지만 해도 7가구가 살았던 곳, 제주도에서 가장 큰 무인도 30년만에 사람의 발길이 허락된 신비의 섬 차귀도, 20007월 천연기념물 제422호로 지정되었고,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되었다.

차귀도는 제주시 한경면 자구내포구에서 2km정도 떨어져 있는 작은 섬으로 죽도, 와우도, 지실이 섬 등 세 개의 섬과 장군바위, 쌍둥이바위, 등 몇 개의 작은 바위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1970년 말까지 7가구가 살았으나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다.

차귀도둘레길은 사람들의 흔적을 따라 만들어진 길을 따라가면 선착장에서 시작해 한 바퀴 돌아오는데 이정표를 기준으로 하면 1.96m. 차귀도유람선: 064-738-5355

 

10:30 차귀포구에서 차귀도행 유람선(064-738-5355)승선(경로/왕복13,000)

        차귀도는 자구내포구에서 유람선을 타고 1.5km, 10분 정도 소요되고, 매일 09:30-18:30분까지 1시간 간격으로

        운향하며, 요금은 성인16,000원이다!

*요즘은 코로나19 때문에 하루 10:30, 14:30분 두 차례만 운행한다는데, 승객이

많으면 추가운행도 한다. 예약전화: 064-738-5355

10:38 차귀도에서 하선(8)

 

10:40-11:40

제주도 섬속의 섬 차귀도둘레길 1.96km/1시간

course

차귀도선착장-전망대1-전망대2(장군바위전망대)-등대(0.81km)-차귀도정상(0.64km)-차귀도선착장(0.51km)

 

11:40 차귀도에서 유람선 승선

11:55 차귀포구에서 하선

12:05-12:35 점심식사(30/12,000)

        차귀포구에 몇 개의 식당이 있는데, 대부분 문을 닫아 어쩔 수 없이 회는 싫어하는 , 달래식당(064-772-5155)

        서 회덮밥(12,000)으로 점심식사를 한다.

12:40 차귀포구에서 771-2번 버스탑승(1,150)

12:45 고산환승정류장에서 하차

 

차귀포구-고산환승정류장까지 4.3km를 걸을 때!

차귀포구에서 경치가 아름다운 올레길12코스 차귀포구-수월봉까지 2.4km를 걷고, 수월봉에 올랐다가 수월봉-고산환승정류장까지 1.9km를 걸어 나와 고산성당 앞에 있는 고산환승정류장에서 재주행 102번 급행버스를 타도된다.

차귀포구-고산환승정류장까지 4.3km/1:20

course

차귀포구-해경고산출장소-제주올레12코스-엉알해안-수월봉입구-수얼봉팔각정-고산기상대-수월봉입구-고산서2-고산육거리-고산환승정류장

 

13:00 고산환승정류장에서 102번 급행버스탑승(환승800)+할증(1,000)=1,800

        배차간격: 102(하루 하루21회 운행)

14:24 제주버스터미널에서 하차

14:32 제주시외버스터미널건너편 오른쪽에 있는 럭키장여관(064-751-2727)숙소입소

        숙박비: 1*15,000×7=105,000100,000

 

 

제주올레17코스 용두암올레길 3.7km

럭키장여관에 짐을 풀고 오후에 시간여유가 있어 가까운 제주올렉17코스의 일부구간인 용두암올레길 3.7km를 걸으면서 용두암의 야경을 감상하고자 오후 늦게 숙소를 나선다.

 

16:45 제주버스터미널입구 버스정류장에서 315번 버스탑승(1,150)

        제주버스터미널입구에 있는 버스정류장(도로변 터미널쪽)에서 315, 432 버스타고 동문시장,동문로타리를 꺽어

        져 탐라광장에서 내려 400m직진하면 제주항이고, 왼쪽으로 용진교를 건너 바닷가로 걸으면 탑동광장-영연계

        곡.용연구름다리-용두암으로 갈 수 있다. 배차간격: 315(하루 22), 432(22)

17:01 탐라광장에서 하차

 

 

17:02-19:24(2:22)

제주올레17코스 용두암올레길 3.7km/1:55, 저녁식사(27)

course

탐라광장정류장-산지천길-김만덕기념관-용진교-서부두방파제-탑동광장해안공원-용연주차장-용연계곡.용연구름다리-용담공원-용두암-용원농수산직판장(3.7km)

 

김만덕(金萬德)

김만덕(金萬德)은 조선후기(1739~1812) 제주도의 여성자선 사업가인데, 김만덕은 어린나이에 부모와 사별하고 11살에 기적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제주목사를 찾아가 부모를 잃고 가난으로 기녀가 된 것을 호소하여 기녀 명단에서 삭제되고 양녀로 환원되었다.

김만덕은 객주 집을 차리고 제주특산물을 서울등지에 팔아 큰 부자가 되었다. 1790년부터 1794년까지 제주에 흉년이 들어 사람들이 기아에 허덕이게 되자 김만덕은 육지에서 곡물을 사들여 사람들에게 나눠주는 한편 관가에도 보내어 구호곡으로 쓰게 하였다.

이러한 선행으로 정조는 김만덕에게 내의원 의녀반수 직을 제수하였으며, 영의정 채제공의 주선으로 금강산을 유람하였다.

 

17:56-18:23 저녁식사(27/8,000)

용두암올레길을 걷다가 중간에서 맛집을 만나 제주시 탑동로 116 아랑졸디 자매 국수(064-746-2222)‘에서 고기국수(8,000)로 저녁식사를 한다.

 

19:25 제주사대부설중학교정류장에서 431번 버스탑승(1,150)

        용원농수산직판장에서 왼쪽으로 꺽어져 50m지점에서 도로를 건너 제주사대부설 중학교정류장에서 431번 버스

        타고 제주버스터미널에서 내린다. 배차간격: 431(하루 23)

20:12 제주버스터미널에서 하차

        제주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 럭키장여관(064-751-2727)에서 숙박(-)

1일 소요비용(160,850)

.....................................................................................................................................................................................................................................................

 

 

210/21()

05:30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운진항행 151번 급행버스탑승(2,000)+할증(1,000)=3,000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운진항으로 가는 151/152(급행), 250-1,2, 3, 4 (일반) 버스타고 운진항에서 내린다.         배차간격: 151(급행/하루 47), 250-1, 2, 3, 4(일반/67)  

        첫차: 제주에서 151(05:30, 06:45, 07:00), 152(06:40)

06:33 운진항에서 하차

 

06:40-08:00

운진항 일출감상 및 방파제 왕복2.5km/1:20

시간여유가 많아 운진항에서 일출감상하고, 운진항방파제 왕복 2.5km를 걷는다.

course

모슬포남항여객선타미널(운진항)-마라도.가파도여객선대합실-하모해수욕장입구-

(일출감상)-운진항-요트정박장-운진항방파제-등대-운진항방파제-M1971카페-

마라도.가파도여객선대합실

 

09:00 모슬포항에서 가파도행 여객선승선(경로/왕복9,700)

        모슬포항에서 09:00, 11:00, 14:00, 16:00

        가파도에서 11:20, 14:20, 16:20, 요금: 성인(13,100), 경로(9,700)

        마라도.가파도여객선터미널(064-794-5490.5491)

09:18 가파도에서 하선

 

 

제주올레10-1코스 가파도올레길 5.0km

가파도올레는 상동포구에서 출발해 S자형으로 걷고, 하동포구(가파포구)까지 4.2km라고 하는데, 여객선이 모슬포항에서 가파도 상동포구까지 운항하므로 가파도올레가 하동포구(가파포구)에서 끝난다 하더라도 상동포구까지 이동해야 한다.

고로, 필자는 S자형의 올레길을 무시하고 일주도로를 따라 가파도를 한 바퀴 돌아오는 가파도올레 상동포구-하동포구(가파포구)-상동포구까지 일주코스로 인터넷지도기준 5.0km를 걷는다.

 

09:20-10:50

제주올레10-1코스 가파도올레 5.0km/1:30, 마을길(30), 대기(1시간)

course

상동포구-상동마을할망당-큰왕돌-장택코정자-냇골챙이-가파초등학교-가파도전망대식당-가파도전화국-개엄주리코지-큰옹진물-가파도마을제단-가파도치안센터-하동포구(가파포구)(2.4km)-의용소방대-보건진료소-전기차충전소-상동포구(2.6km)

point

가파도는 한국의 유인도 중에서 가장 낮은 섬이다. 섬의 최고점이 20.5미터에 불과하다. 제주도에 한국에서 가장 높은 산인 한라산과 가장 낮은 섬 가파도가 함께 있다는 사실은 의미 깊다.

낮은 섬 가파도는 느리게 걸어도 한 시간이면 충분할 정도로 작다. 그러므로 가파도 올레는 걷기 위한 길이 아니다. 머물기 위한 길이다.

길고 긴 제주 섬의 올레를 걸어오느라 수고한 나의 몸과 마음이 하루쯤 편히 쉴 곳. 가파도는 산책의 섬, 휴식의 섬, 안식의 섬이다.

새로운 길을 가기 위한 에너지 충전소다. 봄에는 청보리축제(3~5), 여름에는 수국축제(6-8), 가을에는 해바라기.코스모스(9~10), 겨울에는 유채꽃축제(11-2)가 열린다. 마라도.가파도여객선터미널(064-794-5490.5491)

가파도맛집

가파포구(하동포구)에 있는 가파도용궁식당(064-794-7089)가 유명하다는데, 뱃시간 때문에 그냥 지나친다.

메뉴: 용궁정식(13,000), 소라볶음밥(10,000), 회덥밥(10,000), 비빔국수 (7,000), 소주(5,000), 막걸리(3,000)

 

12:20 가파도선착장에서 모슬포행 여객선승선(-)

        가파도는 09:00에 운진항에서 여객선을 타고 들어가면 11:20분에 니와야한다. 그런데 필자는 가파도에서 나가는

        시간이 11:40분으로 잘못 알고 있었다.

        그래서 가파도일주를 10:50분에 마치고 시간적인 여유가 있어 상동선착장근처 마을길을 걷다가 11:20분에 나가지

        못하고, 다음 배인 12:20분에 나왔다.

        그 바람에 식사할 곳도 없는 가파고선착장에서 1시간이나 다음 배를 기다려야 했다.

 

12:35 운진항에서 하선

12:55 운진에서 253번 버스탑승(1,150)

14:24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하차

14:31 순희뽀글이에서 점심식사(11,000)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내려 제주시 공설로 27-1 ‘순희뽀글이(064-755-7441)’ 에서 뽀글이정식(7,000), 소주

        (4,000) 등으로 늦은 점심식사를 한다.

        제주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 럭키장여관(064-751-2727)에서 숙박(-)

        일기예보대로 오후에는 오후 내내 비가 내려 늦은 점심식사 후 오후에는 일정을 잡지 못하고, 일찍 숙소에 들어

        휴식한다.

18:03 저녁 및 다음날아침용 빵종류 구입(9,300)

        제주버스터미널건너편에 있는 오복당과자점(064-753-3916)에서 저녁 및 다음날 아침용 빵종류(5,500)와 숙소

        아래층에 있는 C&U에서 빵종류(3,800)을 구입 한다.

2일 소요비용(34,150), 누계(195,000)

.....................................................................................................................................................................................................................................................

 

 

310/22()

05:45 제주버스터미널에서 282번 버스탑승(1,150)

07:10 서귀포터미널.월드컵경기장에서 하차

 

 

제주올레7코스 천지연폭포와 천제연폭포

서귀포시 강정동에는 비가 많이 내리면 가동되는 엉또폭포가 있다. 어제 제주도에 제법 많은 비가 내려 오늘은 강풍예보도 내려져 있고 해서 엉또폭포나 구경할 요량으로 새벽에 첫차타고 제주에서 서귀포로 넘어간다.

그런데 서귀포터미널에서 택시를 타고 엉또폭포 갈려구요."

그랬더니 기사님 왈 지금 가 봐야 물이 없어요.”

어제 비가 많이 왔잖아요?”

이 정도 와 가지고는 어림도 없습니다. 70-80mm는 와야 해요

아뿔사!! 헛수고 했다.

한 참을 망서린다. 서귀포까지 왔으니 그냥 또 제주로 넘어갈 수는 없었다.

그래서 찾아간 곳이 천지연폭포.

 

07:13 서귀포터미널에서 택시탑승(택시비6,700)

07:23 천지연폭포주차장에서 하차

 

07:34-07:56 제주올레7코스 천지연폭포 왕복1.5km/22분

천지연폭포는 해발고도25m에 위치하며 높이 22m 너비 12m 수심 20m로 폭포하단부에 형성된 천지연자체가 폭호(plunge pool)에 해당된다.

천지연폭포 절벽의 구성암석은 조면안산암인데, 상류하천(常流河川, perennial stream)인 연외천[솜반내]에서 물이 공급되고 있다. 연외천은 수량이 풍부하고 연중 용출수가 솟아오르면서 천지연으로 흘려 내려가며 폭포수가 된다.

course

천지연폭포주차장-매표소-천지연휴게소-수력발전소터-천지연폭포-수력발전소터-연외천구름다리-야외공연장-연외천징검다리-매표소-천지연폭포주차장(1.5km)

 

08:10 천지연폭포주차장에서 612번 버스탑승(1,150)

08:20 제주은행에서 내려 08:24 510번으로 환승(-)

08:55 천제연폭포에서 하차

 

08:55-09:40 천제연폭포 왕복2.5km/45분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내에 있는 천제연폭포는 상··3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폭포는 높이 22m의 절벽으로 떨어져서 깊이 21m의 짙푸른 천제연을 이루고 있고, 그 못 물은 다시 흘러서 제2폭포가 되어 제2의 못을 이루면서 떨어지고 있으며, 2의 못은 또다시 제3폭포가 되어 떨어져서 바다로 흘러가는 장관을 이루고 있다.

옥황상제의 선녀들이 밤이면 이곳에 내려와 목욕을 하였던 곳이라 하여 천제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1폭포가 떨어지는 천제연 옆의 바위동굴은 천장으로부터 얼음보다 더 차가운 물이 흘러내려서 예로부터 백중(百中처서(處暑)날에 이 물을 맞으면 모든 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하여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제주올레7코스 천지연폭포와 천지연폭포는 200910월과 201610월에 이미 다녀온바 있다.

2009. 10/20-03 1415

제주올레6코스 쇠소깍-천지쳔폭포-정방폭포-외돌개까지

        길잡이: http://blog.daum.net/sansol/901

        사  진: http://blog.daum.net/sansol/922

2016. 10/05-10 56

제주해안도로 일주드라이브

        길잡이: http://blog.daum.net/sansol/3536

        사  진: 2부 천제연폭포-외돌개까지 http://blog.daum.net/sansol/3542

                  3부 외돌개-천지연폭포까지 http://blog.daum.net/sansol/3543

                  4부 천지연폭포-쇠소깍까지 http://blog.daum.net/sansol/3545

 

천제연폭포정류장에서 제1-2-3폭포를 거쳐 천제연폭포정류장까지 되돌아오는데 왕복 약 2.5km쯤 되는 것 같다.

course

천제연폭포정류장-매표소-1폭포(천상연폭포)-2폭포-중문면희생자위령비-선임교-중문천제사입구-천제연관개수로-성주답관개유적비-3폭포-매표소-매표소-천제연폭포정류장(2.5km)

 

09:44 천제연폭포정류장에 제주행 282번 버스탑승(1,150)

10:00 동광환승센터에서 하차

10:09 동광환승센터에서 택시탑승(택시비7,500)

10:17 새별오름입구에서 하차

 

 

제주들불축제장 새별오름둘레길 3.6km

뜻하지 않게 서귀포에서 천지연폭포와 천제연폭포를 관광하고, 다음목적지인 제주들불축제장인 새별오름으로 가기 위헤 천제연폭포에서 제주행 282번 버스를 탄다.

그런데 282번 버스가 제주행이기는 하나 매번 새별오름의 화전마을정류장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돌아가는 버스도 있단다. 필자가 탄 이 버스가 바로 다른 길로 돌아가는 버스였다.

 

10:18-11:12

제주들불축제장 새별오름둘레길 3.6km/54

제주들불축제는 1997년 처음으로 시작해 2020년이 23년째다. 그런데 올해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취소되었다.

정월대보름을 전후해 3월초에 열리는 제주들불축제는 구제역이 전국을 강타했던 2011년을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었는데, 올해역시 코로나19 때문에 두 번째로 취소되었다.

제주들불축제의 유래와 연혁을 보면, 경운기 등 농기계가 보급되기 전인 197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제주는 농가마다 1마리 이상의 소를 키웠다. 소를 이용해 밭을 갈았고, 소의 등에 달구지를 매 수확한 농작물을 집으로, 시장으로, 정미소로 운반했다.

농한기인 여름에는 소들을 중산간 들녘초지에 방목하고, 마을에서는 각 가정마다 순번제로 목장을 찾아 소를 돌봤으며, 가을에 접어들면 다시 소를 집으로 데려왔다. 그리고 겨울에 접어들기 전에 초지대에서 겨우내 소의 양식인 꼴을 베어냈다.

이때 초지대에는 각종 병해충과 소의 생육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진드기 등이 남아 있어 병해충과 각종 가시덤불을 없애고 이듬해 봄에 양질의 새 풀이 돋아나도록 중산간 들녘에 불 놓기(방애)를 했다.

course

새별오름입구표지석-주차장-새별오름입구-주차장-새별오름입구-새별오름정류장-제주우유사거리(2봉성교사거리)-화전마을정류장(3.6km)

 

11:22 화전마을정류장에서 제주행 282번 버스탑승(1,150)

        새별오름입구에서 오른쪽으로 약 1.0km지점 제주우유사거리(2봉성교사거리)에서 봉성교굴다리를 지나 화전마

        을버스정류장에서 251, 252, 253, 254, 255, 282 버스타고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내린다.

12:03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하차

12:08 점심식사용으로 C&U편의점에서 도시락구입(6,200)

        숙소아래층에 있는 C&U편의점에서 점심식사용으로 도시락(4,500), 소주(1,700) 등을 구입한다.

 

 

제주올레18코스 사라봉올레길 4.8km

사라봉올레는 제주올레18코스에 속한 구간으로 2013. 05/21일 제주올레길을 걸을 때 이미 걸은 바 있다!

2013. 05/21

제주올레18코스 동문로터리-조천만세동산까지 18.8km

      사 진: 1부 동문로터리-4.3유적지까지 http://blog.daum.net/sansol/2213

 

13:10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201번 버스탑승(1,150)

        배차간격: 201(하루 50)

13:29 오현중고등학교에서 하차

        오현중고등학교에서 내려 뒤로돌아 오현고교차로에서 오른쪽으로 횡단보도를 건너 오현서점.삼보운동화빨래방

        사잇길로 직진하면 0.5km지점 왼쪽에서 원두교를 건너면서 사라봉으로 올라간다.

 

13:30-14:53

제주올레18코스 사라봉올레길 4.8km/1:23

course

오현중고등학교정류장-오현고교차로.오현서점-원두교-사라봉일제동굴진지-별도봉-애기업은돌-배드민턴장-사라봉팔각정-충혼각-김만덕이야기표지판-제터-동물검역센터교차로-국제여객선터미널정류장(4.8km)

 

15:24 국제여객선터미널에서 315번 버스탑승(1,150)

        배차간격: 315(하루 22회운행)

15:29 동문로터리.동문시장에서 하차

        동문시장구경(49분)

16:18 동문로터리.동문시장에서 412번 버스탑승(1.150)

        배차간격: 412(하루 24회운행)

16:21 관덕정에서 하차

 

16:22-16:45 제주목관아.관덕정 관람(23)

16:53 중앙로.중앙성당에서 315번으로 환승(-)

        배차간격: 315(하루 22회운행)

17:06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하차

17:16 구이한판에서 저녁식사(11,000)

        제주시 서광로 197 구이한판(070-4062-1892)에서 김치찌개(7,000), 소주 (4,000) 등으로 저녁식사를 한다.

        제주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 럭키장여관(064-751-2727)에서 숙박(-)

3일 소요비용(39,450), 누계(234,450)

.....................................................................................................................................................................................................................................................

 

 

410/23()

06:00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231번 버스탑승(1,150)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231, 232번 버스타고 GS25교래퐁낭점사거리 교래리버스정류소에서 내려 뒤로돌아 가면

        200m지점에 삼다수숲길 입구인 교래리소공원과 삼다수숲길주차장이 있다.

        배차간격: 231(24), 232(13)

        첫차: 제주터미널에서 231(06:00, 07:00), 232(06:20)

06:37 교래리에서 하차

 

 

제주조천 교래리삼다수 숲길 12.3km

제주조천읍 교래리삼다수 숲길 8.2km는 과거에 사용하던 임도를 활용하여 조성한 숲길이다. 1코스 1.2km는 짧은 코스, 2코스 5.2km는 단축코스, 3코스 8.2km는 완주코스다.

삼다수 숲길은 봄에는 복수초 군락이 아름답고, 여름에는 산수국 군락이, 가을에는 하천을 따라 핀 단풍이 무척 아름답다.

한 그루터기에서 여러 가지가 생겨난 맹아림을 통해 벌목, 숲 만들기 등 4.3사건과 6.25전쟁이후 제주도민의 산림이용문화를 엿볼 수 있습니다.

 

교래리삼다수 숲길을 걷고 보니 제주올레길11코스 곶자왈올레가 생각나고, 한라산둘레길이 생각난다. 교래리삼다수 숲길은 곶자왈올레나 한라산둘레길과 비슷한 숲길이다.

필자가 오늘 걸은 코스는 삼다수숲길 일주코스 8.2km와 들머리 교래리버스정류장-삼다수숲길 입구까지 2.5km와 날머리 삼다수숲길 입구-교래리버스정류정까지 1.6km를 포함하여 총 12.3km.

제주올레길 11코스 곶자왈구간

         사 진: 하모해수욕장-제주자연생태문화체험골까지 : http://blog.daum.net/sansol/942

한라산둘레길

1구간 천아수원지정류장-돌오름입구까지 13.1km

        사 진: 1부 천아수원지-노로오름까지 7.4km http://blog.daum.net/sansol/3932

                2부 노로오름-돌오름입구까지 5.7km http://blog.daum.net/sansol/3933

2구간 돌오름-서귀포자연휴양림버스정류장까지 5.8km

        사 진: http://blog.daum.net/sansol/3934

3구간 거린사슴전망대-돈내코탐방로까지 14.5km

        사 진: 1부 무오법정사-43주둔소까지 7.7km http://blog.daum.net/sansol/3938

                243주둔소-돈내코탐방로까지 5.8km http://blog.daum.net/sansol/3939

4구간 충혼묘지버스정류장-119번도로까지 20.4km

        사 진: 돈네코탐방로-5.16도로까지 8.0km http://blog.daum.net/sansol/3940

5구간 붉은오름정류장-사려니숲버스정류장까지 10.0km

        사 진: 2013. 05/25 http://blog.daum.net/sansol/3941

                2016. 10/09 http://blog.daum.net/sansol/3943

 

06:38-10:48

제주조천 교래리삼다수 숲길 교래리소공원-반환점까지 일주12.3km/4:10

course

교래리버스정류장-교래리소공원.삼다수숲길주차장-삼다수숲길입구(2.5km)-가나안기도원-갈림길분기점-반환점(3.9km)-갈림길분기점-삼다수공장-삼다수숲길입구(4.3km)-교래리주차장(1.6km)

 

10:56 교래리버스정류장에서 231번 버스탑승(1,150)

        삼다수 숲길트래킹을 마치고, 제동목장입구삼거리 교래리버스정류장에서 231, 232 번 버스타고 제주시외버스터미

        널에서 내린다.

11:38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하차

11:42 점심식사용으로 C&U편의점에서 도시락구입(4,300)

        숙소아래층에 있는 C&U에서 점심식사용으로 도시락(4,300)을 구입한다.

 

 

제주올레17코스 도두봉올레길 2.0km

도두봉올레는 제주올레17코스에 속한 구간으로 2013. 05/20일 제주올레길을 걸을 때 이미 걸은 바 있다!

제주올레17코스 도두항-동문로터리까지 18.4km

사  진: 1부 도두항-용두암입구까지 : http://blog.daum.net/sansol/2211

         2부 용두암-동문로터리까지 : http://blog.daum.net/sansol/2212

 

13:20 제주버스터미널에서 444버스탑승(1,150)

        제주버스터미널(터미널입구터미널 쪽)에서 444번 버스타고 해안로버스정류장에서 내려 200m직진하면 도두봉

        으로 올라가는 입구가 있다. 배차간격(하루14회 운행), 첫차: 444(06:30)

13:50 해안로버스정류장에서 하차

 

13:50-14:50

제주올레17코스 도두봉올레길 해안로-오래물광장까지 2.0km/1시간

course

해안로버스정류장-도두봉입구-해안데크-도두봉입구-일제강점기동굴-도두봉정상-도원봉수대터-도두항전망대-도두봉입구쉼터-도두항-도두항구름다리-오래물광장정류장(2.0km)

 

14:56 오래물광장정류장에서 447번 버스탑승(1,150)

15:18 중앙로사거리에서 내려 15:31 그 자리에서 332번으로 환승

15:44 제주버스터미널에서 하차

        오복당과자점에서 빵종류를 구입(6,000)

        숙소로 돌아오면서 제주버스터미널건너편에 있는 오복당과자점(064-753-3916) 서 간식 및 점심식사용으로

        빵종류를 구입(6,000)한다.

15:53 제주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 럭키장여관(064-751-2727)에서 숙박(-)

17:11 제주기사정식뷔페에서 저녁식사(12,000)

        숙소에서 휴식하다가 제주시 공설로 23 제주기사정식뷔페(064-753-0024)에서 한식뷔페(8,000), 소주(4000)

        등으로 저녁식사를 한다.

4일 소요비용(26,900), 누계(261,350)

.....................................................................................................................................................................................................................................................

 

 

510/24()

07:30 제주버스터미널에서 240번 버스탑승(1,150)

        배차간격: 하루 12회운행, 첫차: 제주터미널에서 06:30

08:05 충혼묘지에서 하차

 

 

한라산 석굴암가는 길 왕복5.0km

엊그제 제주도에 비가 많이 내려 어제 엉또폭포를 구경하려고 했는데, 그 정도 비로는 어림없다기에 대신 자투리여행으로 천지연폭포-천제연폭포-새별오름-사라봉까지 두루 돌아다녔다.

그리고 오늘, 한라산돈내코 코스등산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강풍주의보로 인해 한라산의 모든 코스가 통제되고, 어승생악과 석굴암만이 열려있다.

강풍주의보가 내려 추자도 역시 여객선출항이 어려울 것 같아 한라산 석굴암을 가보기로 한다. 그런데 아침늦게 강풍주의보는 해제되었다.

 

08:05-10:07

한라산 석굴암가는 길 왕복5.0km/2:02

한라산 아흔 아홉 골 깊숙한 산속에 자리한 석굴암은 1947년 월암당 강동은 스님에 의해 창건되었는데, 도량의 터를 찾기 위해 스님께서 아흔 아홉 골 계곡 선녀폭포 위쪽에 자리한 궤에서 기도도량 찾기 100일 기도를 드린 후 작은 새의 인도를 받아 지금의 석굴암 터에 자리를 정했다고 한다.

course

충혼묘지정류장-충혼묘지주차장.천왕사입구(1.0km)-석굴암(1.5km)-충혼묘지정류장(2.5km)

 

11:01 충혼묘지에서 240번 버스탑승(1,150)

        충혼묘지정류장에 10:07분에 도착했는데, 다음버스는 11:00분에 있다. 이번 제주 여행에서 최악의 기다림이었다!

11:27 제주버스터미널에서 하차

 

11:32 룡천왕갈비탕에서 점심식사(14,000)

        제주버스터미널에서 내려 룡천왕갈비탕(064-753-5565)에서 왕갈비탕(10,000 ), 소주(4,000) 등으로 점심식사

        를 한다.

 

 

오늘은 오전중에 한라산 석굴암을 탐방하고, 점심식사 후 오후에는 특별한 계획이 없어 제주시시티투어 jeju citytour를 나선다.

 

제주시시티투어 jeju citytour

제주시시티투어는 제주시내를 한 바퀴 돌아오는데, 2시간 소요되고, 매시정각에 제주국제공항 출발하고, 매시10분에 제주버스터미널입구 앞 정류장을 통과하며, 2시간 후 정각에 제주국제공항에 도착한다.

배차간격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고, 어느 정류장에서든지 승하차가 가능하고, 요금은 일반 6,000원으로 알고 있는데, 경로는 2,000원이다. 휴차일은 매월 셋째주 월요일이고, 전화문의기 064-741-8784번으로 하면 된다.

 

14:10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시티투어버스탑승(2,000)

course

제주국제공항-제주버스터미널-탐라장애인복지회관-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삼성혈)-사라봉(산지등대)-크루즈여객터미널-제주연안여객터미널-김만덕객주-동문시장-관덕정(목관아)-탑동광장(제주해변공연장)-용연구름다리(용두암)-용해로-어영해안도로-도두봉-이호테우해수욕장-제주민속5일시장-흑돼지식당가-한라수목원-노형5거리(드림타워)-메종글래드호텔입구-제원아파트(누웨모루거리)-제주국제공항

 

16:10 제주버스터미널에서 하차

17:58 저녁식사용 도시락구입(5,700)

        숙소아래층에 있는 C&U편의점에서 저녁식사용 도시락(4,500), 아메리카노커피 (1,200) 등을 구입한다.

5일 소요비용(24,000), 누계(285,350)

.....................................................................................................................................................................................................................................................

 

 

610/25()

06:30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240 버스탑승(1,150)

        제주시외버스터미널 7번승강장에서 어리목-영실방향으로 가는 1100도로노선 240(컨벤션센터) 버스타고 어리목

        입구에서 내린다.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06:30, 07:30, 08:30, 09:30, 10:25..

07:09 어리목입구버스정류장에서 하차(39)

 

 

한라산돈내코코스 어리목-돈내코까지 15.8km

한라산돈내코 코스등산은 어리목정류장-어리목탐방안내소까지 1.0km, 어리목탐방안내소-윗세오름-남벽분기점-돈내코탐방안내소까지 13.8km, 돈내코탐방안내소-충혼묘지버스정류장까지 1.0km 등 총 15.8km.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064-713-9950)

 

한라산 돈내코코스 등산은 이번이 처음이고, 200801월 어리목-윗세오름-영실까지 10.8km200910월 영실-웃세오름-어리목까지 10.8km등산한 바 있고, 최근에 201711/05일 성판악-백록담-관음사까지 18.3km등산한 바 있다.

2008. 01/11-13 23

한라산 어리목-윗세오름-영실까지 10.8km

     길잡이: http://blog.daum.net/sansol/977

     사  진: http://blog.daum.net/sansol/978

2019. 03/15

한라산어승생악 왕복4.6km

     길잡이: http://blog.daum.net/sansol/4425?category=1922110

     사  진: http://blog.daum.net/sansol/4434

2009. 10/20-03 1415

한라산 영실-윗세오름-어리목까지 10.8km

     길잡이: http://blog.daum.net/sansol/901?category=1922120

     사  진: http://blog.daum.net/sansol/951

2017. 11/01-08 78

제주한라산 성판악-백록담-관음사까지 18.3km

     길잡이: http://blog.daum.net/sansol/3931

     사 진:

         제1부 성판악-진달래밭대피소까지 7.3km http://blog.daum.net/sansol/3944

         제2부 진달래밭대피소-백록담까지 2.3km http://blog.daum.net/sansol/3945

         제3부 백록담-용진각현수교까지 2.0km http://blog.daum.net/sansol/3947

         제4부 용진각현수교-관음사까지 6.7km http://blog.daum.net/sansol/3948

 

 

07:10-13:54

한라산돈내코코스 어리목-충혼묘지정류장까지 15.8km/6:44

course

어리목버스정류장-어리목탐방안내소(1.0km)-어리목목교-사제비동산-사제비샘-만세동산전망대-오름샘-윗세오름대피소(4.7km)-방아오름전망대-방애오름샘-남벽분기점전망대-남벽통제소(2.1km)-넓은드르전망대-평궤대피소(1.7km)-살채기도-돈내코탐방안내소(5.3km)-충혼묘지-충혼묘지버스정류장(1.0km)

point

어리목탐방로는 한라산국립공원 탐방안내소(해발970m)에서 시작하여 어리목계곡-사제비동산(해발1,423m)-만세동산(해발1,606m)-윗세오름대피소(해발1,700m)-남벽순환로를 거쳐 남벽분기점(해발1,600m)까지 이어지는 총 6.8km의 탐방로로 백록담 남쪽 화구벽과 한라산의 아름다운 풍광을 마음껏 즐길 수 있다.

돈내코탐방로는 서귀포시 돈내코유원지 상류에 위치한 탐방안내소(해발500m)에서 시작하여 썩은물통-살채기도-평궤대피소(해발1,450m)를 지나 남벽분기점(해발1,600m)까지 이어지는 총7km의 탐방로로 한라산백록담 화구벽의 웅장한 자태를 한눈에 볼 수 있다.

 

14:03 충혼묘지버스정류장에서 612번 버스탑승(1,150)

        충혼묘지버스정류장에서 611, 612번 버스타고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버스정류장에서 내린다.

        배차간격: 611(하루 12), 612(12)

14:07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버스정류장에서 하차

 

종점인 충혼묘지버스정류장-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버스정류장까지 3.0km를 걷는다면 중간 1.5km지점에서 원앙폭포를 감상 할 수 있다!

원앙폭포는 한 쌍의 폭포가 사이좋게 흐른다고 해서 '원앙'이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두 갈래로 쏟아지는 폭포수는 시원스럽고, 에메랄드빛 소는 맑고 깊다. 원앙폭포의 높이는 5m에 불과하지만 매년 음력 715일 백중날 제주여인들이 여름철물맞이로 유명하다

 

14:11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버스정류장에서 제주행 281번 버스탑승(1,150)

        배차간격: (하루 76)

15:07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하차(56)

 

15:13 제주기사정식뷔페에서 아침.점심.저녁식사(11,000)

        제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내려 제주시 공설로 23 제주기사정식뷔페 (064-753-0024)에서 한정식뷔페(8,000),

        막걸리(3,000) 등으로 아침겸 점심겸 저녁식사를 한다.

18:19 숙소아래층 C&U편의점에서 빵종류 구입(5,500)

        숙소아래층 C&U편의점에서 내일 추자도올레길 등산용 빵종류(4,300), 아메리카 노커피(1,200) 등을 구입한다.

        제주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 럭키장여관(064-751-2727)에서 숙박(-)

6일 소요비용(19,950), 누계(305,300)

.....................................................................................................................................................................................................................................................

 

 

710/26()

06:50 제주버스터미널에서 315번 버스탑승(1,150)

        제주연안여객터미널행 버스는 차고지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제주터미널입구(터미널쪽)에서 타야 한다!

        배차간격: 315(하루 22회 운행), 첫차: 외도에서 06:05, 06:10

07:08 제주연안여객터미널에서 하차

 

 

제주올레18-1코스 추자도올레길 11.0km

필자가 걷고자 하는 추자도올레길은 여객선운항시간을 감안하여 올레길을 따라 상추자도올레길 상추자도선착장-추자대교까지 4.4km와 추자대교를 건너 도로를 따라 하추자도 추자대교-예포리포구까지 6.6km 11.0km.

 

07:08-08:28

제주연안여객터미널에서 휴식 및 제2부두방파제 일부걷기 왕복1.8km/1:20

제주연안여객터미널에서 너무 일찍 도착했기 때문에 터미널대합실에서 휴식도 하고, 구경도 하다가 제주항 제2부두방파제 일부 왕복1.8km를 걸어본다!

 

09:30 연안여객터미널(2부두)에서 상추자도-우수영행 여객선 승선(경로12,200)

     1)연안여객터미널(2부두)-상추자도-우수영 09:30-10:30-12:30

       우수영-상추자도-제주항 14:30-16:30-17:30

       퀸스타2: 씨월드고속훼리(064-758-4234)

       정기휴무: 둘째, 넷째 수요일

     2)국제여객터미널(7부두)-하추자도-완도 13:45-15:45-18:45

       완도-하추자도-제주항 07:40-10:20-12:40

       송림불루오션: 한일고속(1688-2100)

    3)제주항여객터미널: http://jeju.ferry.or.kr/

10:40 상추자도 도착

 

 

10:40-13:46

제주올레18-1코스 추자도올레길 상추자도선착장-예초리포구까지 11.0km/3:06

course

상추자도선착장-추자면사무소(0.4km)-추자초등학교-제주최영장군사당-쌍룡사-봉굴레쉼터-낙조전망대-봉굴레산(85.5m)-봉굴레전망대.돌탑-천주교추자성당-순효각-벽화마을-추자처사각-나바론절벽-벼랑케쉼터-추자교쉼터-추자대교(4.0km)-묵리고개-추자양식장-묵리포구-닭목재전망대-신양2리마을-추자도휴양펜션-해경추자파출소-신양항-모진이몽돌해수욕장-황경한의묘-모정의쉼터-예초리-예초리포구(6.6km)

point

제주올레18-1코스 추자도올레 17.7km는 상추자도와 하추자도의 봉우리들을 잇는, 바다와 산봉우리가 어우러진 매혹적인 절경으로 자랑하고 있는 올레길이다.

추자도는 제주시에서 가장 북서쪽에 위치한 섬으로 4개의 유인도와 38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진 군도이다.

추자도올레는 추자항을 출발하여 최영장군사당-봉글레산-천주교추자공소-처사각-나바론절벽-추자등대-추자교-묵리마을-신양2-몽돌해안-예초리포구-엄바위장승-돈대산-영흥쉼터-추자항으로 이어지는 총연장 17.7.

봉글레산, 묵리고개, 신대산, 예초리기정, 돈대산 등 봉우리를 여러 차례 오르내리므로 난이도는 최상이고, 추자도에서 하루를 머물러야 온전히 걸을 수 있는 길이다.

추자도는 제주올레11코스와 깊은 연관이 있는데, '황사영 백서'사건으로 제주도에 유배된 정난주 마리아는 두 살 배기 아들을 살리기 위해 아들을 저고리에 싸서 추자도의 바위에 숨겨두고 왔다.

아들은 어부 오씨에게 발견돼 추자도에서 평생을 살았고, 어머니는 제주도대정에서 평생을 관노로 살다가 묻혔다. 죽을 때까지 만나지 못한 어머니의 묘는 제주올레11코스에서 그 아들의 묘는 18-1코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문의: 제주올레(064-762-2190)

마을순환버스

운행시간: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1시간 간격으로 13회 운행

운행코스: 대서리 출발(매시정각), 예초리 출발(매시30)

             대서리(상추자선착장)영흥리묵리신양2신양1(신양항)예초리(포구)신양1신양2묵리

             영흥리대서리(상추자선착장)

콜택시

추자교통(064-742-3595), 오토랜드(011-699-1232)

 

14:30 예초리포구버스종점에서 910번 마을버스탑승(950)

        마을버스운행시간은 상추자도선착장에서 매시 00, 예초리포구에서 매시 30분에 출발한다.

14:47 상추자도선착장에서 하차

14:59 상추자도선착장 추자도명품수산에서 점심식사(14,000)

        추자도올레길을 걷고, 예초리포구에서 마을버스타고 상추자도선착장에서 내추자도명품수산(064-742-3789)

        서 굴비백반(10,000), 막걸리(4,000) 등으로 점심식사를 한다.

 

16:30 상추자도에서 제주행 여객선 승선(경로10,700)

17:35 제주항연안여객터미널에 도착

18:05 제주연안여객터미널정류장에서 315번 버스탑승(1,150)

        제주연안여객터미널대합실 입구(대합실 쪽)에 있는 제주연안여객터미널정류장에서 315번 버스타고 제주버스터미

        널에서 내린다. 배차간격: 315(하루 22)

18:28 제주버스터미널에서 하차

        제주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 럭키장여관(064-751-2727)에서 숙박(-)

7일 소요금액(40,150), 누계(345,450원)

.....................................................................................................................................................................................................................................................

 

 

810/27()

06:36 제주시외버스터미널건너편에서 315번 버스탑승(1,150)

06:45 제주국제공항에서 하차

07:48 공항구내 소반밥상에서 아침식사(8,500)

        비행기를 기다리면서 공항구내 소반밥상(064-746-9907))에서 제주돼지김치찌 (8,500)로 아침식사를 한다.

10:35 제주공항에서 김포행 제주항공탑승(13,900)

11:45 김포공항 도착

8일 소요비용(23,550), 누계(369,000)

 

 

 

차귀도둘레길 2.72km

blog.daum.net/sansol/4944

 

제주도 섬 속의 섬 차귀도둘레길 1.96km 2020. 10/20

제주도 섬 속의 섬 차귀도둘레길 1.96km 1970년대 까지만 해도 7가구가 살았던 곳, 제주도에서 가장 큰 무인도 30년만에 사람의 발길이 허락된 신비의 섬 차귀도, 2000년 7월 천연기념물 제422호로 지

blog.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