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서울 한양도성순성길 4.8km, 제2부 정동제일교회-서울역까지 2.7km 2021. 10/23

산솔47 2021. 11. 20. 11:12

서울 한양도성순성길 돈의문터-숭례문까지 4.8km, 제2부 정동제일교회-서울역까지 2.7km

2021. 10/23 토요일

 

 

오늘은 한양도성순성길 돈의문터-숭례문-서울역까지 4.8km를 걷는다. 이 길은 일명, 덕수궁돌담길로 주로 덕수궁 주변을 둘러보는 코스라고 할 수 있겠다. 교통편의상 돈의문터에서 시작해 숭례문을 거쳐 서울역까지 필자가 걸은 코스를 기준으로 4.8km.

 

 

08:22-10:42

서울 한양도성순성길 돈의문터-숭례문까지 4.8km/2:20

course

경희궁정류장-경희궁흥화문입구-돈의문터-정동사거리-프란치스코교육회관-어서각터-창덕여자중학교-이화사주문-이화여자고등학교.손탁호텔터-이화여고심슨기념관-예원학교정문-정동근린공원.러시아공사관-정동수녀원터-고종의길-.신아일보별관-보구여관터-국립정동극장-덕수궁중명전-정동제일교회.음악분수대(2.1km)-서울시립미술관(대법원터)-배재어린이공원-배재학당역사박물관-배재중고등학교-시위병영터-소의문터-하늘담은연못-숭례문-서울역왈우강우규동상-서울역(2)정류장(2.7km)

소요시간: 4.8km/2:20, 평균속도(2.02km/시속)

 

덕수궁돌담길 음악분수대

 

 

서울시립미술관

 

 

대법원터(서울시립미술관)

 

 

육영공원터.독일영사관터.독립신문사터

 

 

배재어린이공원

 

 

신교육의 발상지.배재학당역사박물관

 

 

제1회 전국체육대회 개최지 배재중.고등학교

 

 

시위병영터(侍衛兵營址)

시위병영터(侍衛兵營址)는 조선 후기에 임금의 호위를 위하여 조직된 시위대의 보병 제1연대 제1대대가 주둔하던 곳이다.

 

 

소의문터(昭義門址)

소의문(昭義門)은 조선 한성의 4소문 중 하나로 서쪽에 있는 작은 문이라고 해서 서소문(西小門)이라고도 하며, 과거에는 소덕문(昭德門)이라고 하였다.

1396년 건설되어 광희문과 함께 일반적인 통행로로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소덕문(昭德門)이었지만 1744년 영조 때 문을 개수하면서 소의문(昭義門)으로 고쳤다.

서소문 밖 네거리는 조선시대의 대표적 처형장 중 한 곳이었는데 특히 1800년대 중반 이후 천주교 박해가 극심하던 시절 새남터 성지, 절두산 성지 등과 더불어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이곳에서 순교했다.

특히 새남터 성지에서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등 사제들이 다수 순교한 것과 달리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는 평신도들이 주로 순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곳에 천주교 순교자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건립돼 있으며, 프란치스코 교황도 2014년 한국을 찾았을 때 이곳을 참배하며 순교자들을 위한 기도를 했다.

인근 충정로의 약현성당에 그 기념관이 있으며 서소문공원 내에 성지가 조성되어 있다.

1914년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가 소의문 지역에 도로와 경의선 철도를 낸다는 명분으로 소의문을 헐어버렸다.

 

 

숭례문(崇禮門)

숭례문(崇禮門)은 국보1호로 조선시대 서울성곽의 정문이며 1398년에 완성되어 1448년에 개축되었다. 현존하는 서울의 목조건축물 중 가장 오래되었다. ‘예를 숭상한다는 의미로 숭례문이라 하였고, 1934년 일본이 남대문으로 문화재 지정을 했으나 1996숭례문(崇禮門)’으로 명칭을 환원했다.

2008210일 방화화재로 석축만 남긴 채 누각 2층 지붕이 붕괴되고 1층 지붕도 일부 소실되었으나 5년여에 걸친 복원공사 끝에 201354일 준공했다.

 

 

서울역광장에 있는 왈우 강유규의사 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