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금정산(金井山)숲길 6.2km
2022. 01/13 목요일
오늘도 최저기온이 영하9도, 최고기온이 영하4도로 몹시 추운날씨다. 그래도 답답해서 동네한 바퀴로 김포시와 인천시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높이 155m의 금정산(金井山)을 등산하고자 한다.
금정산(金井山)은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동과 김포시 풍무동 경계에 위치한 155m의 나즈막한 산으로 일대 주민들 많이 찾고 사랑을 받고 있는 산이다.
주변에 중앙승가대학교(中央僧伽大學校)가 있고, 원종(元宗)과 인헌왕후(仁獻王后) 구씨의 왕릉인 장릉(章陵)과 장릉의 능침사찰(陵寢寺刹)로서 장릉의 울창한 수림을 정원 삼아 500여 년간 장릉의 수호사찰로서의 맥을 이어오고 있는 금정사(金井寺)가 있다.
10:00-12:00
김포 금정산숲길 장릉입구-금정산-장릉입구까지 6.2km/2시간
course
장릉입구-축산물도매센터가천린포크-코사마트-느티나무집-장릉산쉼터-승가로금정산입구(2.5km)-금정산정상(155m).금정정(金井亭)전망대-고산(123.4m)-검단신도시대광로제비앙아파트-김포한신교회-설악추어탕-장릉입구(3.7km)
소요시간: 6.2km/2시간, 평균속도(3.1km/시속)
김포장릉(章陵)입구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 있는 장릉(章陵)은 조선 제16대 인조의 부모인 원종(1580~1619)과 인헌왕후(1578~1626) 구 씨를 모신 능이다.
원종은 선조의 다섯째 아들 정원군으로 태도가 신중하고 효성과 우애가 남달라 선조의 사랑을 많이 받았으며, 1604년 임진왜란 중 왕을 호종했던 공으로 호성공신 2등에 봉해졌다.
왕을 뜻하는 '종'이라는 묘호를 갖고 있음에도 원종이라는 이름이 우리에게 낯선 까닭은 그가 생존 당시의 왕이 아니라 추존된 왕이기 때문이다.
원종은 사망할 때 정원군인 '군'의 신분이었으므로 양주 곡촌리(현재 남양주시 금곡동) 처갓집 선산에 초라하게 묻혀 있었다.
하지만 인조반정으로 정원군의 아들 능양군(인조)이 왕이 되자 이미 고인이 된 정원군은 정원대원군으로 높여졌고, 10년 후에 묘호가 원종으로 추존되었으며 묘도 원으로 추승되어 흥경원이라 했다.
이후 원종의 무덤은 현재의 자리인 김포시로 옮겨지면서 장릉이 되었다. 인헌왕후는 아들이 즉위하자 연주부부인이 되었고, 궁호를 계운궁이라 했다. 1626년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 김포 성산 언덕에 예장했다가 원종의 능인 현재 자리로 천장했다.(daum백과)
축산물도매센터 가천린포크
축산물도매센터 가천린포크는 1층에서 고기를 사서 2층에서 바로 구워먹는 곳으로 2022, 01/06일 open했다.
오른쪽으로 울타리 넘어는 김포장릉이다. 지금 김포장릉저수지 옆을 지나고 있다..
느티나무쉼터
김포 금정산(金井山/155m)입구
금정산(金井山)은 높이가 155m로 인천시 서구와 김포시 풍무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 김포시 풍무동 소재 중앙승가대학교와 금정사(金井寺)를 끼고 있다.
김포시 장릉산에서 금정산(155m)을 거쳐 고산(123m)과 만수산(112.9m)으로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어 연계산행이 가능하다. 출처: 별똥대의 정밀 GNSS & 트래킹 그리고 KOREA.MAP
금정산(金井山/155m)정상전망대
김포시와 인천시의 경계선상에 있는 금정산정상에서 바라보면 인천시 서구 검단신도시에 고층아파트들이 빼꼭히 들어서고 있슴을 알수 있다. 그런데 검단신도시의 일부 아파트가 김포장릉의 시야를 가린다고 해서 지금 문제가 되고 있다.
금정산(金井山/155m)정상석
인천시 서구 검단신도시
김포한신교회
'동네한바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내린 밤, 김포금빛수로라베니체의 야경 3.2km 2022. 01/17 (0) | 2022.01.20 |
---|---|
김포 ECOpark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둘레길 6.8km 2022. 01/14 (0) | 2022.01.17 |
김포 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길 모담마을-풍경마을까지 4.9km 2022. 01/06 (0) | 2022.01.09 |
김포 나진포천길 금빛수로라베니체-나진교까지 5.7km 2022. 01/04 (0) | 2022.01.07 |
임인년호랑이해 김포모담산운양정 새해일출 2022. 01/01 (0) | 2022.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