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초지진과 황산도둘레길 7.4km, 제1부 초지진탐방 왕복1.8km
2022. 06/18 토요일
김포와 강화도를 연결한 초지대교를 건너면 오른쪽에 초지진(草芝鎭)이 있고, 왼쪽에 황산도가 있다.
초지진(草芝鎭)은 해상으로 부터 침입하는 외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조선 효종7년(1656년)에 구축한 요새이고, 섬 속의 섬 황산도는 해안 쪽으로 약 0.9km에 걸쳐 데크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그런데 데크길이 0.8km지점 마지막쉼터에서 끊어져 버렸다. 데크길이 파손되어 다시 공사하고 있는 중이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황산도 일주는 포기하고 돼 돌아 와야 한다.
07:42-09:42
강화 초지진과 황산도둘레길 7.4km/2시간
course
초지교차로-초지대교-초지인삼해수탕-강화경찰수련원-황산포구-황산어판장-황산데크둘레길시점(2.0km)-테크길파손종점(0.8km)-황산데크둘레길시점(0.8km)-황산어판장-강화경찰수련원-초지대교-초지교차로(2.0km)-초지진(草芝鎭)-초지교차로-초지대교(1.8km)
소요시간: 7.4km/2시간, 평균속도(3.7km/시속)
초지진(草芝鎭)
초지진(草芝鎭)은 해상으로 부터 침입하는 외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조선 효종7년(1656년)에 구축한 요새로 고종8년(1871년) 4월에 통상을 강요하며 침입한 미국로저스아세아함대와 고종12년(1875년) 침입한 일본군함 운양호와 치열한 격전을 벌인 격전지다.
초지진(草芝鎭)은 1871년 신미양요 때 미군 측의 함포공격으로 일부가 파괴되었고, 1875년 일본의 운양호침공시 조선수비병과 일본군사이의 포격전으로 완전히 무너지고 허물어져 돈(墩)의 터와 성의 기초만 남아 있었다.
그러다가 1973년 초지진의 초지돈만 복원되었는데, 높이가 4m 정도이고 장축이 100여m 되는 타원형으로 이 돈에는 3개소의 포좌(砲座)와 총좌(銃座) 100여 개가 있었는데, 지금은 조선시대 대포 1문만 포각(砲閣) 안에 전시되어 있다.
초지진의 성벽과 400여 년 동안 초지돈대를 지키고 있는 두 그루의 소나무에는 격전 중에 날아온 포탄파편으로 그 상처가 아직도 남아 있다.
강화 초지진과 황산도둘레길 7.4km, 제2부 황산도둘레길 초지대교-데크길종점까지 2.8km
https://blog.daum.net/sansol/5395
강화 초지진과 황산도둘레길 7.4km, 제2부 황산도둘레길 초지대교-데크길종점까지 2.8km 2022. 06/18
강화 초지진과 황산도둘레길 7.4km, 제2부 황산도둘레길 초지대교-데크길종점까지 2.8km 2022. 06/18 토요일 김포와 강화도를 연결한 초지대교를 건너면 오른쪽에 초지진(草芝鎭)이 있고, 왼쪽에 황
blog.daum.net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초지진과 황산도둘레길 7.4km, 제3부 황산도둘레길 데크길종점-초지대교까지 2.8km 2022. 06/18 (0) | 2022.06.25 |
---|---|
강화 초지진과 황산도둘레길 7.4km, 제2부 황산도둘레길 초지대교-데크길종점까지 2.8km 2022. 06/18 (0) | 2022.06.25 |
강화 정족산 삼랑성둘레길 5.5km, 제2부 정족산정상-전등사-전등사동문까지 3.2km 2022. 06/16 (0) | 2022.06.21 |
강화 정족산 삼랑성둘레길 5.5km, 제1부 전등사동문-정족산정상까지 2.3km 2022. 06/16 (0) | 2022.06.21 |
강화 정족산 삼랑성둘레길 5.5km길잡이 2022. 06/16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