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둘레길 서울역-동대입구역까지 5.6km, 제2부 남산팔각정-동대입구역까지 2.7km
2022. 06/20 월요일
오늘은 모처럼 새벽에 일찍 일어나 첫차타고 서울역에서 내려 서울남산둘레길 서울역-숭례문-남산-장충단공원-동대입구역까지 5.6km를 걷고자 한다.
오늘 걷는 목적은 남산정상전망대에서 청와대를 사진에 담고자 한 것인데 아쉽게도 날씨가 흐리고 안개가 끼어 청와대는 전혀 볼 수가 없었다.
05:32-07:50
서울남산둘레길 서울역-남산-동대입구역까지 5.6km/2:18분
course
서울역(2번)-숭례문(崇禮門)-남산육교-도동삼거리-백범광장-안중근광장-잠두봉전망대-서울남산팔각정(2.9km)-남산버스정류장-남산국궁장(석호정)-외솔최현배선생기념비-장충단공원(獎忠壇公園)-동대입구역(2.7km)
소요시간: 5.6km/2:18분, 평균속도(2.35km/시속)
남산팔각정
남산 국사당터(國師堂址)
국사당(國師堂)은 태조가 조선을 개국하고 서울로 수도를 옮긴 1년 뒤인 1395년에 남산산신을 목멱대왕으로 봉작하고, 목멱신사를 세워 국사당(國師堂)이라 하고 춘추로 초제(醮祭)를 지냈다.
본래 국사당(國師堂)은 서울 남산꼭대기(팔각정자리)에 있었으나 1925년 일본인들이 남산기슭에 조선신궁(朝鮮神宮)을 지으면서 국사당이 자기들의 신사보다 높은 곳에 있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이전을 강요하면서 인왕산자락으로 이전하였다.
이전장소를 인왕산기슭으로 택한 것은 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가 그곳에서 기도하던 자리라고 전해지기 때문이다.
남산버스정류장
국궁장 석호정
석호정 옛 활터
외솔 최현배선생 기념비
장충단공원(獎忠壇公園)
장충단공원(獎忠壇公園)은 남산의 동쪽 기슭에 있으며, 광장·테니스코트·놀이터·분수대 등을 갖추었다.
사명대사(四溟大師)의 동상을 비롯하여 석호정(石虎亭)·장충단 비석 등이 있으며 현재 세종대왕기념관에 보존되어 있는 수표교(水標橋)도 청계천 복개 이후 15년간 장충단공원의 초입에 있다.
조선시대 어영청(御營廳)의 분영인 남소영(南小營)이 이곳에 있었고, 1900년(광무 4)에는 고종의 명의로 초혼단(招魂壇)이 건립되었다.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순직한 궁내부 대신 이경직(李耕稙)과 연대장 홍계훈(洪啓薰) 등 호위 장졸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제단 1동과 부속 건물 2채를 짓고 해마다 춘 ·추로 제사를 지냈는데 1908년(융희 2)부터는 제사도 폐지되었다.
제단도 6 ·25전쟁 때 소실되었고, 지금은 순종의 친필인 ‘奬忠壇’이라는 비석이 남아 있을 뿐인데 현재 그 자리에는 영빈관이 들어서 있다.
영빈관 앞쪽에는 장충체육관을 세웠고, 한남동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의 왼쪽에는 호텔 신라·자유센터 ·타워호텔 등이 늘어서 있으며, 맞은편 남산 기슭에는 국립극장·국립국악원이 자리잡았고, 남산 제2터널 입구에 유관순(柳寬順) 동상이 서 있다. 출처: 네이버
순국열사 이한응선생기념비
일성 이준열사 동상
장충단공원에 있는 수표교
장충단비
장충단터
장충단공원의 장충정
동대입구역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인왕산등산 3.5km, 제2부 성곽조망대-인왕산정상-성곽조망대까지 0.5km 2022. 06/22 (0) | 2022.07.03 |
---|---|
서울 인왕산등산 3.5km, 제1부 자하문고개.창의문-성곽조망대까지 1.4km 2022. 06/22 (0) | 2022.07.03 |
서울 남산둘레길 서울역-동대입구역까지 5.6km, 제1부 서울역-남산팔각정까지 2.9km 2022. 06/20 (0) | 2022.06.29 |
강화 초지진과 황산도둘레길 7.4km, 제3부 황산도둘레길 데크길종점-초지대교까지 2.8km 2022. 06/18 (0) | 2022.06.25 |
강화 초지진과 황산도둘레길 7.4km, 제2부 황산도둘레길 초지대교-데크길종점까지 2.8km 2022. 06/18 (0) | 2022.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