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종로구 인왕산국사당 가는 길 3.6km, 제1부 독립문-인왕산데크전망대까지 1.7km
2022. 08/17 수요일
국사당(國師堂)은 원래 남산정상 팔각정 자리애 있었다. 지금 남산에 올라가면 팔각정 옆에 ‘국사당표지석’이 있다.
그런데 1925년 일본인들이 남산기슭에 조선신궁(朝鮮神宮)을 지으면서 국사당이 자기들의 신사보다 높은 곳에 있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이전을 강요하면서 인왕산자락으로 이전한 것이다.
06:20-08:08
서울종로구 인왕산국사당 가는 길 3.6km/1:48분
course
독립문역(3번)-독립문-독립관-3.1운동기념탑-순국선열추념탑-서대문형무소-무악재하늘다리-인왕정-해골바위-인왕산선바위-국사당-무악어린이공원-한양도성인왕산공원구간-한양도성암문-한국사회과학자료원
소요시간: 3.6km/1:48분, 평균속도: 1.92km/시속
독립문(獨立門)
서울시 서대문구 현저동 서대문독립공원 독립문역사거리에 있는 독립문(獨立門)은 높이 14.28m, 너비 11.48m로 모화관정문인 영은문을 허물고 그 자리에 세운 것이다.
1896년(건양 1) 독립협회 발의로 3,825원을 모금해 1896년 11월21일 정초식을 거행하고 이듬해 11월20일 완공했다.45×30㎝크기의 화강암 1,850개를 쌓아 만든 이 문은 가운데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이 있고 내부 왼쪽에 옥상으로 통하는 돌층계가 있으며, 꼭대기에는 난간을 둘렀다.
이맛돌 위에 앞뒤로 한글과 한자로 '독립문'이라 쓰고 그 좌우에 태극기를 조각한 현판석을 달아놓았다.독일공사관의 스위스인 기사가 설계했는데, 당시 서양건축의 조영경험이 있던 목수 심의석이 공사감독을 맡아 중국인 노동자를 고용해 만들었다.(daum백과)
송재 서재필선생 동상
3.1독립선언기념탑
유관순열사 동상
독립관
순국선열추념탑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는 구)서울구치소의 일제강점기때 명칭으로 형조의 지휘를 받아 죄수를 관장하던 전옥서가 전신이다.
1908년(순종 2) 10월21일 일본인 건축가 시텐노 가즈마의 설계에 의해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인 경성감옥으로 건축되었다.
1923년 서대문형무소로 개칭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 허위·유관순·강우규 등 수많은 애국지사가 수감되었던 민족수난의 현장이다.
해방 후에는 서울형무소, 서울교도소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간첩·사상범, 많은 운동권 학생과 재야인사 등이 거쳐간 곳으로서 한국의 교도행정상 빼놓을 수 없는 기념지였다.
1987년 서울형무소, 서울교도소가 의왕시로 이전하면서 기존의 자리에는 서대문독립공원이 조성되었다.(daum백과)
무악재하늘다리
인왕산 인왕정
서울종로구 인왕산국사당 가는 길 3.6km, 제2부 인왕산데크전망대-한국사회과학자료원까지 1.9km
https://sansolsanbang.tistory.com/5454
인왕산국사당 가는 길 3.6km, 제2부 인왕산데크전망대-한국사회과학자료원까지 1.9km 2022. 08/17
서울종로구 인왕산국사당 가는 길 3.6km, 제2부 인왕산데크전망대-한국사회과학자료원까지 1.9km 2022. 08/17 수요일 국사당(國師堂)은 원래 남산정상 팔각정 자리애 있었다. 지금 남산에 올라가면
sansolsanbang.tistory.com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미산.월미공원둘레길 6.8km, 제1부 월미공원역-전통정원부용정까지 1.6km 2022. 08/21 (0) | 2022.10.10 |
---|---|
인왕산국사당 가는 길 3.6km, 제2부 인왕산데크전망대-한국사회과학자료원까지 1.9km 2022. 08/17 (0) | 2022.10.03 |
서울 경희궁(慶熙宮) 둘레길 1.0km 2022. 08/15 (0) | 2022.09.28 |
서울 경희궁(慶熙宮) 관람 2022. 08/15 (0) | 2022.09.28 |
서울중구.종로구 고종의 길 3.7km, 제2부 서울주교좌성당-경희궁흥화문까지 2.0km 2022. 08/15 (0)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