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황화산-배매산-금정산둘레길 길잡이 2014-08-03
김포 황화산-배매산-금정산둘레길 7.5km
2014. 08/03 일요일
행정구역상 인천시에 속하지만 실제는 김포에서 가까운 뒷동산처럼 걷기 좋은 이름 없는 산, 황화산과 배매산, 금정산을 이은 둘레길을 걷는다.
트래킹코스 :
검단2동주민센터정류장-검단2동주민센터-황화산정상/전망대-정자/소나무쉼터-배매산정상/국기봉-산불감시탑-원당동해나라유치원/김포교회(3.0km)-중앙승가대학교정문/금정산.장릉갈림길(2.0km)-금정산정상/팔각정-정자쉼터-인천서구영어마을GEC-서구영어마을정류장(2.5km)
소요시간 : 트래킹(7.5km/3:10분), 휴식(20분) 계(3:30분)
평균속도 : 2.4km/시속
들머리
풍경마을에서 388번 버스타고 한전앞.구경찰서정류장에서 내려 횡단보도를 건너서 841번 버스타고 검단2동주민센터에서 내린다. 검단2동주민센터정류장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100여m 직진하면 근린공원들머리다. 배차간격 : 388번(18분), 841번(10분)
날머리
인천서구영어마을정류장에서 841번 버스타고 풍년마을.김포고에서 내려 육교를 건너서 20, 388번 버스로 환승, 풍경마을에서 내린다.
배차간격 : 20번(15분), 388번(15분)
.....................................................................................................................................................................................................................................................................
김포 황화산-배매산-금정산둘레길 길잡이
09:15 풍경마을에서 388번 버스탑승
인터넷에는 서울정형외과.검단입구에서 내려 도로를 건너 김포1동주민센터.중봉도선관정류장에서 841번 버스로 환승하면 되는데, 인터넷
에 나와 있는 김포1동주민센터.중봉도선관정류장이 없어 어쩌다보니 북변환승센터까지 걸어가 차고지에서 출발하는 841번 버스를 타게
된다.
09:47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차고지에서 841번 버스로 환승
10:03 검단2동주민센터에서 하차
10:10 검단2동주민센터
10:33 황화산정상/전망대
10:45 정자/소나무쉼터
10:55 배매산정상/국기봉
11:18 산불감시탑
11:32 원당동해나라유치원/김포교회(3.0km)
12:20 중앙승가대학교정문/금정산.장릉갈림길(2.0km)
12:20-12:40 금정산.장릉갈림길쉼터에서 휴식(20분)
막걸리(반되/3,000원)
13:00 금정산정상/팔각정
13:28 정자쉼터
13:36 인천서구영어마을GEC
13:40 서구영어마을버스정류장(2.5km)
14:22 서구영어마을정류장에서 841번 버스탑승
14:55 풍년마을.김포고에서 하차
15:00-15:30 김포고버스정류장먹자골목 투덜이아저씨네쌈밥(031-988-0235)에서 점심식사(30분)
삼겹살(국산)쌈밥(10,000원), 소주(3,500원) 계(13,500원)
15:50 풍년마을.김포고에서 20, 388번 버스탑승
16:06 풍경마을에서 하차
우리동네 둘레길, 오늘은 행정구역상으로는 인천광역시에 속하지만 실제는 김포시에서 가까운 뒷동산처럼 걷기 좋은 이름 없는 산, 황화산과 배매산, 금정산을 잇는 둘레길을 걷기로 한다.
그 중 금정산은 김포장릉과 이어져 있어 함께 걸을 수가 있으며 일부구간은 김포시와 인천광역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기도 하다.
트래킹 시점은 검단2동주민센터로 한다. 주민센터를 지나면 막창구이집 옆에 황화산으로 올라가는 입구가 있다. 입구에 들어서면 길이 양쪽으로 갈리는데, 어느 길로 가던지 이정표는 없지만 올라가면서 서로 만날 것으로 보인다.
소나무가 울창한 숲길을 올라가면 금새 작은 돌탑을 만나고, 처음 올라올 때 시점에서 갈리던 길이 이곳에서 서로 만난다. 이곳의 이정표는 황화산 정상이 0.2km 남았음을 안내한다.
아무런 표식은 없지만 황화산 정상에 올라서면 서쪽의 전경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가 만들어져 있다.
오늘은 날씨가 좋아 숲속의 아파트와 농촌풍경, 낮게 깔린 야산너머로 서해바다가 아주 잘 보인다. 이정표는 앞으로 배매산이 1.47km 남았음을 안내한다.
동네노인들이 많이 걷고 있는 이 산에는 의외로 소나무가 많다. 가다보니 소나무 숲속에 정자가 들어서 있고, 어른들이 휴식을 하고 있다. 이곳의 이정표는 정상이 0.18km 남았음을 안내하고 있다.
배매산 정상인 듯 한곳에 벤치가 있어서 정상치고는 너무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알고 보니 이곳에서 10여m 더 올라가야 배매산 정상이 있었다. 배매산 정상에는 국기봉이 세워져 있고, 태극기가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멀-리 고양시의 킨텍스와 고층아파트들이 보이고, 하늘에는 김포공항으로 가는 비행가 2-3분 간격으로 지나가고 있다.
배매산 정상에서 직진하는 길이 있어 진행하는데 급경사 길로 내려간다. 그런데 오래전에 사람들이 다녔던 길인 듯 지금은 썩은 낙엽이 길을 덥고 있다.
아무래도 이 길이 아닌 것 같아 다시 올라온다. 알고 보니 등산로는 배매산 정상에서 10여m 아래 벤치에서 이어지고 있었다. 그러니까 배매산은 주등산로에서 10여m 비켜 있다는 것이다.
또 다시 한참동안 소나무 숲길을 걸으니 산불감시탑이 있다. 그런데 감시탑에 올라서도 주위에 나무가 울창하게 우거져있어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 것 같다.
산불감시탑을 지나니 금새 도로에 내려서는데 이곳은 인천시 서구 원당동이다. 황화산과 배매산 등산을 마치는 지점이다. 이제는 반대편에 있는 금정산으로 이어가기 위해 원당동 주택가를 지나가야 한다.
원당동해나라유치원과 김포교회를 지나고 공장지역도 지나간다. 인터넷 지도에 나와 있는 시점을 찾으니 길이 없는 곳이었다. 마을분이 길을 알려주는데 금정산을 올라가기 위해서는 한참을 돌아 중앙승가대학교까지 가야한단다.
배매산에서 내려와 금정산 시점인 중앙승가대학교까지는 약 2.0km나 된다. 원당동 주택가를 지나가는데 무려 50분이나 걸린다. 중간 중간에 금정산으로 올라가는 길을 찾느라 시간을 많이 소비한 탓이다.
암튼, 그렇게 중앙승가대학교 정문인 금정산 시점이자 장릉갈림길인 고갯마루에 도착한다. 고갯마루에서 잠시휴식하면서 간이매점에서 막걸리 반주전자를 시켜놓고 김치를 안주삼아 한잔한다.
이곳 고갯마루에서 금정산 정상까지는 0.4km, 정상까지는 나무계단이 설치되어 있고 오른쪽으로 승가대학교 울타리에는 24절기를 그림과 설명이 첨부된 안내판이 부착되어 있다.
처음 것은 입춘(入春), 양력 2월4일경,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고.. 마지막 것은 대한(大寒), 양력 1월21일경, 겨울의 큰 추위가 닥치는 절기임을 알려주고 있다.
그렇게 24절기를 다 보고나면 드디어 금정산 정상에 도착한다. 정상에는 ‘금정산’이라는 정상표지석이 서 있고, ‘金井亭’이라는 팔각정 2층 정자가 세워져 있다.
팔각정에 올라서니 날씨가 좋아 멀-리까지 잘 보인다. 눈앞에 펼쳐지는 경치가 참으로 아름답다.
금정산 정상에서 반대편으로 내려가는데, 소나무에 걸린 안내판이 김포시에서 인천광역시로 넘어가고 있음을 알려준다. ‘여기서 부터는 인천광역시 원당동입니다.’
꾸불꾸불하게 생긴 소나무 숲을 지난다. 그러더니 갑자기 쭉쭉 뻗은 소나무 숲이 나타난다. 한참을 걷는다. 그리고는 이어지는 참나무 숲, 다시 소나무 숲, 또 다시 참나무 숲이 이어지는가 싶더니 묘지를 지나 금정산을 내려선다.
처음 와보는 낮선 거리라 사방을 살피는데, 지도를 보니 위치상으로 이곳은 인천서구영어마을이 있는 곳이다. 아니나 다를까 도로가에 INCHEON SEOGU G.E.C. 인천서구영어마을 건물이 있다.
검단2동주민센터-인천서구영어마을까지 약 7.5km를 걷는데, 3시간10분이나 걸렸다. 평균속도는 시속 2.4km, 처음 걷는 낮선 길이라 알바 하는 곳이 많아 평소에 비해 상당히 많이 걸렸다.
이정표가 잘 되어 있던가? 아는 길이었다면 아무리 천천히 걸어도 2시간30분이면 충분한데 말이다.
김포 황화산-배매산-금정산둘레길 7.5km
http://blog.daum.net/sansol/2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