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화성 융건릉(隆健陵)둘레길 길잡이 2014-11-08

산솔47 2014. 11. 13. 11:54

화성8경중 제1경 사도세자와 정조의 왕릉을 찾아서, 화성 융건릉(隆健陵)둘레길 3.4km

2014. 11/08 토요일

 

 

화성시 융건릉(隆健陵)은 사도세자로 잘 알려져 있는 추존왕 장조와 그의 부인 혜경궁 홍씨, 현경왕후의 합장능인 융릉과 사도세자의 효성스러운 아들 조선 22대 왕 정조와 효의왕후 김씨의 합장능인 건릉이 자리 잡고 있는 곳으로 왕릉둘레길 3.0km를 걷고자하는데, 융건릉을 둘러보기 전에 1.6km 못미쳐에 있는 용주사를 먼저 둘러본다.

 

트래킹코스 :

용주사-(버스)-융건릉정류장-매표소(0.2km)-융릉(0.4km)-숲길-건릉(2.1km)-매표소(0.5km)-융건릉정류장(0.2km)

소요시간 : 3.4km/1:15

 

출발기점 : 09:20 서울역에서 신창행 누리로탑승

..........................................................................................................................................................................................................................................................

 

용주사(龍珠寺)

화성시 용주로 136에 자리 잡고 있는 용주사(龍珠寺)는 신라 문성왕 16(854)에 창건된 갈양사로 청정하고 이름 높은 도량이었으나 병자호란 때 소실된 후 폐사되었다가 조선 제22대 임금인 정조(正祖)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다시 일으켜 원찰로 삼았다.

28세의 젊은 나이에 부왕에 의해 뒤주에 갇힌 채 8일 만에 숨을 거둔 사도세자의 영혼이 구천을 맴도는 것 같아 괴로워하던 정조는 보경스님으로부터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설법을 듣게 되고 이에 크게 감동, 부친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절을 세울 것을 결심하면서 경기도 양주 배봉산에 있던 부친의 묘를 천하제일의 복지(福地)라 하는 이곳 화산으로 옮겨와 현릉원(뒤에 융릉으로 승격)이라 하고, 보경스님을 팔도도화주로 삼아 이곳에 절을 지어 현릉원의 능사(陵寺)로서 비명에 숨진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수호하고 그의 명복을 빌게 하였다.

낙성식 날 저녁에 정조가 꿈을 꾸었는데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했다 하여 절 이름을 용주사라 불렀다.

http://www.yongjoosa.or.kr/

 

화성 융건릉(隆健陵)

화성시 효행로 48121에 자리 잡고 있는 융건릉은 사도세자로 잘 알려져 있는 추존왕 장조와 그의 부인 혜경궁 홍씨, 현경왕후의 합장능인 융릉과 사도세자의 효성스러운 아들 조선 22대 왕 정조와 효의왕후 김씨의 합장능인 건릉이 자리 잡고 있는 곳이다.

추존왕 장조의 능은 정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억울한 누명으로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위해 온갖 정성을 기울여 재 조영 하였다.

http://hwaseong.cha.go.kr/

 

융건릉산책길이용안내

거리 : 3.0km/1:30

기간 : 5/01-11/30일까지 매주 토, 일요일, 공휴일이용, 12/01-5/15일까지는 산책길이용불가

..........................................................................................................................................................................................................................................................

 

 

화성 융건릉(隆健陵)둘레길길잡이

08:00 풍경마을에서 M6117번 광역버스 탑승

08:40 서울역에서 하차

09:20 서울역에서 신창행 누리로탑승(복지/1,300)

     교통정보

     용산역-천안행급행은 토/일요일 06:07, 09:04, 09:46분,소요시간 급행(1시간), 일반(1:05)

09:50 수원역에서 하차

10:07 수원역에서 전철 1호선탑승

10:15 병점역에서 하차

     교통정보

     전철 1호선 병점역 2번 출구로 나와 50m 지점왼쪽에서 34, 34-1, 35-1, 46, 50번 버스타고 용주사에서 내려 용주사를 먼저 둘러보고, 다시

     버스타고 융건릉에서 내린다.

     배차간격 34(15), 34-1(20), 35-1(20), 46(30), 50(1:10)

10:27 병점역 2번출구에서 34, 34-1, 35-1, 46, 50번 버스탑승

10:32 용주사에서 하차

10:32-10:47 용주사답사(15)

 

10:51 용주사에서 34, 34-1, 35-1, 46, 50번 버스탑승

10:55 융건릉에서 하차

10:55-12:10 융건릉(隆健陵)둘레길 3.0km(1:15)

 

12:10-13:00 융건릉입구 진옥화 할매 원조 닭 한 마리(031-222-4030)에서 점심식사(13,000)

     닭반마리(9,000), 공기밥(1,000), 소주(3,000)

13:04 융건릉에서 34, 34-1, 35-1, 46, 50번 버스탑승

13:16 병점역에서 하차

13:40 병점역에서 용산행 급행전철탑승

     교통정보

     병점역-용산행급행은 토/일요일 13:39, 14:48, 15:59, 16:44, 17:33, 18:13..  소요시간 급행(1시간), 일반(1:05)

14:32 용산역에서 하차

14:32-15:35 용산전자상가 둘러보고

15:35 용산역에서 전철 1호선 탑승

15:42 서울역에서 하차

15:45 서울역 2번 출구 버스정류장에서 M6117번 광역버스탑승

16:36 풍경마을에서 하차

 

 

화성시 융건릉(隆健陵)은 사도세자로 잘 알려져 있는 추존왕 장조와 그의 부인 혜경궁 홍씨, 현경왕후의 합장능인 융릉과 사도세자의 효성스러운 아들 조선 22대 왕 정조와 효의왕후 김씨의 합장능인 건릉이 자리 잡고 있는 곳으로 왕릉둘레길 3.0km를 걷고자하는데, 융건릉을 둘러보기 전에 1.6km 못미쳐에 있는 용주사를 먼저 둘러본다.

 

 

 

신라 문성왕 16(854)에 창건된 갈양사로 청정하고 이름 높은 도량이었으나 병자호란 때 소실된 후 폐사되었다가 조선 제22대 임금인 정조(正祖)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다시 일으켜 원찰로 삼았다는 용주사(龍珠寺)

http://blog.daum.net/sansol/2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