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여주 신륵사와 영릉(英陵)과 영릉(寧陵)길잡이 2017. 07/29

산솔47 2017. 8. 9. 14:50

여주 신륵사와 영릉(英陵)과 영릉(寧陵)탐방 6.4km

2017. 07/29 토요일



2016924일 판교역-여주역까지 운행하는 경강선전철이 개통되어 여주 가는데 교통이 편리해졌다. 오늘은 여주신륵사((神勒寺)탐방 왕복2.7km와 천하의 명당자리에 모셨다는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영릉(英陵)과 효종대왕과 인선왕후의 영릉(寧陵)까지 왕의 숲길 왕복3.7km를 걷고자한다. 

교통정보

서울-여주

전철

   풍경마을-강남역(M6427번 광역버스)-강남역(신분당선/양재역방향/3-1)-판교역(경강선/이매역방향)-세종대왕릉역(여주역)에서 내린다.

   첫차: 합정역에서 05:35, 합정역-세종대왕릉역까지 1:56, 합정역-여주역까지 2:01

고속버스

   강남고속터미널에서 06:30, 07:10, 07:50, 08:30, 09:00...소요시간(1:10), 요금(5,700)

   동서울터미널에서 06:30, 07:00, 07:30, 08:10, 08:50...소요시간(1:30), 요금(5,700)

여주역-신륵사

   여주역에서 903(여주역-대림아파트)버스타고 여주종합터미널을 거쳐 신륵사사거리에서 내린다.

   여주역에서 06:30, 07:30, 10:35, 19:10, 19:50, 20:30

   대림아파트에서 06:50, 08:00, 10:55, 19:35, 201:10, 20:50

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

   세종대왕릉역1번 출구버스정류장에서 904(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버스타고 세종대왕릉에서 내린다.

평일(2017.07/29현재)

   세종대왕릉역에서 08:50, 09:40, 10:40, 11:20, 12:00, 13:40, 14:40, 15:20, 16:20, 17:20

   세종대왕릉에서 09:10, 10:00, 11:00, 11:40, 13:20, 14:00, 15:00, 15:40, 16:40, 17:40

주말.공휴일(2017.07/29현재)

   세종대왕릉역에서 08:40, 09:25, 09:50, 10:15, 10:40, 10:55, 11:20, 12:10, 12:50, 13:30, 14:10, 14:30, 14:50, 15:10, 15:50, 16:10, 16:50, 17:10

   세종대왕릉에서 09:00, 09:45, 10:10, 10:35, 11:00, 11:40, 12:20, 13:10, 13:20, 13;50, 14:35, 14:50, 15:10, 15:30, 16:10, 16:30, 17:15, 17:30

가이드

   1.2016. 09/24일 판교역-여주역 경강선전철개통, 여주역-여주터미널까지는 1.7km2.여주역 인근에 여강길.여주대.신륵사.세종.효종대왕릉.

     썬밸리파크.강천보.여주보.이포보.파사산.영월루.여주박물관.강천섬.고달사지.강천보.목아박물관.황학산수목원.여주프리엄아울렛.오갑산.

     양자산.마감.여주온천 등이 있다.

숙박정보

   1.여주역에서 직진으로 2.0km지점에 24시남한강황토불한증막(031-884-3281)이 있다.(7,000)

   2.신륵사에서 강 건너 썬밸리호텔.워터파그주차장에서 도로건너편에, 여주대교 건너 상동사거리에서 왼쪽 원주.강변유원지.여주온천 방향으

     로 도로를 따라 1.0km지점삼거리에서 다시 왼쪽 강변유원지방향으로 꺽어지면 0.6km지점 오른쪽에 고아웃게스트하우스(010-4494-8942)

     가 있다.

소요비용: 21,200

...............................................................................................................................................................................................................................................................................................

 

 

 

 

여주신륵사와 영릉(英陵)과 영릉(寧陵)탐방 6.4km길잡이

04:50 풍경마을에서 M6427번 광역버스탑승(2,000)

05:24 강남역에서 하차

        풍경마을-강남역까지 34

05:42 강남역(3-1)에서 양재역방향 신분당선탑승, 06:00 판교역에서 이매역방향 경강선으로 환승

06:50 여주역에서 하차

        강남역-여주역까지 1:08

06:55 여주역에서 903번 버스시간이 맞지 않아 901번 시내버스탑승(환승)

        교통정보

        여주역1번 출구버스정류장에서 903(여주역-대림아파트)버스타고 여주종합터미널-여주대교를 건너 신륵사사거리에서 내려 신륵사까지

        1.6km를 걷는다.

        여주역에서 06:30, 07:30, 10:35, 19:10, 19:50, 20:30

        대림아파트에서 06:50, 08:00, 10:55, 19:35, 20:10, 20:50

07:00 여주터미널버스정류장에서 하차

07:28 여주터미널버스정류장에서 택시탑승(4,300)

        여주터미널버스정류장에서 신륵사방향으로 가는 버스시간이 맞지 않아 택시를 이용한다.

07:33 신륵사주차장입구에서 하차

 

 

07:35-09:00 여주신륵사((神勒寺)탐방 왕복2.7km/1:25

Course

신륵사관광단지입구-솟을삼문-관광안내소-관광단지주차장-여주도자세상-강변공원-원호장군전승비-신륵사매표소-신륵사[신륵사템플스테이-세심정-동대탑중수비-보제존자석종-구형석조부도-팔각원당형석조부도-조사당-보제존자석종부도-극락보전-다층석탑-다층전탑-김병기송덕비-대장각기비-삼층석탑-강월헌]-신륵사매표소-강변공원-관광상가-솟을삼문-신륵사버스정류장

소요시간: 2.7km/1:25

 

07:35 신륵사관광단지입구

솟을삼문

관광안내소

관광단지주차장

여주도자세상

강변공원

원호장군전승비

신륵사매표소

신륵사((神勒寺)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봉미산(鳳尾山)에 있는 신륵사((神勒寺)는 신라 진평왕 때 원효()가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신륵이라는 이름은 미륵(彌勒) 또는 왕사 나옹(懶翁)이 신기한 굴레로 용마(龍馬)를 막았다는 전설에 의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Daum백과사전]

신륵사: http://www.silleuksa.org/


강월헌

신륵사매표소

강변공원

관광상가

솟을삼문

09:00 신륵사버스정류장

 

09:01 신륵사버스정류장에서 988번 시내버스탑승(1,250)

        교통정보

        신륵사주차장입구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신륵사버스정류장에서 911-5... 등 여주터미널로 가는 시내버스 타고 여주터미널에서 내려,

        횡단보도를 건너 도로건너편에 있는 여주터미널버스정류장에901, 903번 순환버스로 환승, 여주역에서 내린다.

09:08 여주버스터미널에서 하차

 

 

09:10-09:30 여주버스터미널-여주역까지 1.7km/20

Course

여주버스터미널버스정류장-버스터미널사거리-소양천교-소양천자전거길-얀마농업기계-교리교-여주역

소요시간: 1.7km/20

 

09:10 여주버스터미널버스정류장

        여주터미널버스정류장에서 901, 903번 순환버스타고 여주역에서 내리면 되는데, 전광판의 안내는 이 버스가 언제 올지 나타나지도

        않는. 그래서 여주버스터미널-여주역까지 1.7km를 걷기로 한다.


버스터미널사거리

소양천교

소양천자전거길

얀마농업기계

교리교

09:30 여주역

 

09:34 여주역에서 경강선전철탑승

09:38 세종대왕릉역에서 하차

09:50 세종대왕릉역에서 세종대왕릉으로 가는 904번 시내버스탑승(환승)

        교통정보

        세종대왕릉역1번 출구버스정류장에서 904(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버스타고 세종대왕릉에서 내린다.

평일(2017.07/29현재)

        세종대왕릉역에서 08:50, 09:40, 10:40, 11:20, 12:00, 13:40, 14:40, 15:20, 16:20, 17:20

        세종대왕릉에서 09:10, 10:00, 11:00, 11:40, 13:20, 14:00, 15:00, 15:40, 16:40, 17:40

주말.공휴일(2017.07/29현재)

       세종대왕릉역에서 08:40, 09:25, 09:50, 10:15, 10:40, 10:55, 11:20, 12:10, 12:50, 13:30, 14:10, 14:30, 14:50, 15:10, 15:50, 16:10, 16:50, 17:10

       세종대왕릉에서 09:00, 09:45, 10:10, 10:35, 11:00, 11:40, 12:20, 13:10, 13:20, 13;50, 14:35, 14:50, 15:10, 15:30, 16:10, 16:30, 17:15, 17:30

10:02 세종대왕릉에서 하차

 

 

10:02-11:28 세종대왕릉-효종대왕릉까지 왕복3.7km/1:26

Course

세종대왕릉버스정류장-세종대왕릉주차장-세종대왕릉매표소-훈민문-홍살문-영릉(英陵)[세종대왕.소헌왕후릉]-왕의숲길-영릉입구-영릉(寧陵)[효종대왕릉.인선왕후릉]-효종대왕릉매표소-효종대왕릉주차장-영릉숲길-세종대왕릉주차장-세종대왕릉버스정류장

소요시간: 3.7km/1:26

Point

1.2017. 4/26-10/31일까지 왕의숲길 세종대왕릉-효종대왕릉까지 0.7km와 영릉숲길 효종대왕릉-세종대왕릉까지 0.7km를 개방한다.

2.정기휴무일: 매주월요일, 문의(031-885-3123), 세종대왕유적관리소: http://sejong.cha.go.kr

 

10:02 세종대왕릉버스정류장

세종대왕릉주차장

세종대왕릉매표소

훈민문

홍살문

영릉(英陵)[세종대왕.소헌왕후릉]

영릉(세종대왕.소헌왕후릉)

영릉(英陵)은 조선왕릉 중에서도 천하의 명당자리라고 한다. 영릉덕분에 조선왕조의 국운이100년은 더 연장되었다는 말이 공공연히 나돌 정도다. 이런 명성을 갖고 있는 영릉은 제4대 세종대왕(1397~1450)과 소헌왕후(1395~1446) 심 씨의 합장릉이다. 세종은 태종의 셋째아들로 1408년 충녕군에 봉해졌다.[Daum백과사전]

세종대왕유적관리소: http://sejong.cha.go.kr/n_sejong/index.html


왕의숲길

영릉입구

영릉(寧陵)[효종대왕릉.인선왕후릉]

영릉(寧陵)은 제17대 효종(1619~1659)과 인선왕후(1618~1674) 장 씨의 쌍릉으로 세종대왕릉에서 약700m지점에 있다.

효종은 1619년 인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봉림대군에 봉해졌고 12세에 한 살 위이며 신풍부원군 장유의 딸인 인선왕후 덕수 장 씨와 가례를 올려 16녀를 두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화도로 피신했으나 1637년 인조가 청 태종에게 삼전도에서 항복하자 볼모로 소현세자와 함께 선양으로 잡혀간다.[Daum백과사전]


효종대왕릉매표소

효종대왕릉주차장

영릉숲길

세종대왕릉주차장

11:28 세종대왕릉버스정류장

        교통정보

        세종대왕릉버스정류장에서 904(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버스타고 세종대왕릉역에서 내린다.

평일(2017.07/29현재)

        세종대왕릉역에서 08:50, 09:40, 10:40, 11:20, 12:00, 13:40, 14:40, 15:20, 16:20, 17:20

        세종대왕릉에서 09:10, 10:00, 11:00, 11:40, 13:20, 14:00, 15:00, 15:40, 16:40, 17:40

주말.공휴일(2017.07/29현재)

        세종대왕릉역에서 08:40, 09:25, 09:50, 10:15, 10:40, 10:55, 11:20, 12:10,12:50,13:30, 14:10, 14:30, 14:50, 15:10, 15:50, 16:10, 16:50, 17:10

        세종대왕릉에서 09:00, 09:45, 10:10, 10:35, 11:00, 11:40, 12:20, 13:10, 13:20, 13;50, 14:35, 14:50, 15:10, 15:30, 16:10, 16:30, 17:15, 17:30

 

12:20 세종대왕릉버스정류장에서 세종대왕릉역으로 가는 904번 버스탑승(1,250)

        11:40분 버스도 있는데, 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효종대왕릉-세종대왕릉-세종대왕릉역 순으로 운행하는 줄 알고 타지 않았는데,

        그것이 아니다.

         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효종대왕릉-세종대왕릉역 순으로, 갈 때는 세종대왕릉을 들리지 않고, 효종대왕릉에서 세종대왕릉역으로

         바로 가버린다. 그래서 어쩔 수없이 다음 버스를 타게 된 것이다.

12:35 능서버스정류장에서 하차

        세종대왕릉역에는 식당이 전혀 없어 점심식사를 위해 세종대왕릉역에서 0.,7km 못미쳐 능서버스정류장에서 내려 점심식사를 하기로

        한다.

12:50-13:45 점심식사(55/10,000)

        능서면소재지에는 식당이 비교적 많은 편인데, 몇 개 식당에서는 단체손님이 있다하여 개별손님은 받을 수가 없단다.

        그래서 15분 동안 헤매다가 찾아낸 곳이 탕아 대구탕’(031-883-67111)집이다.

        대구지리탕(7,000), 막걸리(3,000) 등을 시켰는데, 대구와 지리의 양도 많이 주고, 맛도 기막히게 맛있다.

13:56 세종대왕릉역

14:05 세종대왕릉역(2-3)에서 경간선 전철탑승, 15:03 판교역(1-1)에서 청계산입구역방향 신분당선으로 환승

15:17 강남역에서 하차

        강남역에서 신분당선4번 출구로 나가면 150m지점 KB국민은행 앞에 강남역버스정류장이 있.

16:14 강남역버스정류장에서 M6427번 광역버스탑승(2,400)

        강남역에서 전철2호선으로 환승하고, 합정역에서 내려 M6117번 광역버스나 G6000번 굿모닝버스를 타면 더 빨리 올 수가 있는데,

        김포한강신도시-강남역까지 다니는 M6427번 광역버스노선을 알아두기 위해 강남역에서 이 버스를 타고자 했으나, 버스

       기다리는데 거의 1시간이나 허비하고 만다.

17:16 풍경마을에서 하차

 

   

  

 

여주신륵사((神勒寺)구간

2016924일 판교역-여주역까지 운행하는 경강선전철이 개통되어 여주 가는데 교통이 편리해졌다.

오늘은 여주신륵사((神勒寺)탐방 왕복2.7km와 천하의 명당자리에 모셔진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영릉(英陵)과 효종대왕과 인선왕후의 영릉(寧陵)까지 왕의 숲길 왕복3.7km를 걷고자한다.

필자가 살고 있는 김포한강신도시에서 여주까지 가는 데는 얼마나 걸릴까?

새벽첫차를 타고 여주여행을 시작한다.

 

04:50분 풍경마을에서 M6427번 광역버스타고, 강남역에서 내려, 강남역에서 다시 신분당선 전철을 타고, 판교역에서 여주로 가는 경강선으로 환승, 06:50분에 종점인 여주역에서 내린다.

김포한강신도시-여주역까지 가는데, - 2시간 걸렸다.

이제 여주여행을 시작해보자!

 

먼저 신륵사를 둘러보기로 한다.

여주역1번 출구버스정류장에서 903번 버스타고 여주종합터미널을 거치고, 여주대교를 건너 신륵사사거리에서 내려 신륵사까지 1.6km를 걷고자 했으나, 아침 이른 시간이라 버스시간이 맞지 않는다.

그래서 06:55분에 여주역에서 901번 시내버스타고 여주버스터미널에서 내려 여주버스터미널버스정류장에서 신륵사방향으로 가는 버스로 갈아타기로 한다.

그런데 역시 여주버스터미널에서도 신륵사방향으로 가는 버스는 시간이 맞지 않는가 보다.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는다.

30여분 기다려도 버스가 오지 않아 택시를 이용하기로 한다.

사실은 여주버스터미널-신륵사주차장까지 2.8km는 걸어가도 되는 거리다.

 

어쨌든 07:28분에 여주터미널에서 택시타고, 07:33분에 신륵사주차장입구에서 내린다.

아침 이른 시간이라 조용하기만 하다.

이제 본격적으로 여주신륵사((神勒寺)탐방 왕복2.7km의 여행을 시작해보자!

신륵사관광단지입구에서 솟을삼문-관광안내소-관광단지주차장-여주도자세상-강변공원-원호장군전승비를 지나 신륵사매표소에 도착한다.

이른 시간인데도 신륵사매표소에는 사람이 나와 있다.

경로는 무료인데, 매표소직원은 필자를 보자마자 그냥 들어가란다.

신륵사경내로 들어간다.

 

신륵사((神勒寺)

Daum백과사전에 의하면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봉미산(鳳尾山)에 있는 신륵사((神勒寺)는 신라 진평왕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신륵이라는 이름은 미륵(彌勒) 또는 왕사 나옹(懶翁)이 신기한 굴레로 용마(龍馬)를 막았다는 전설에 의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신륵사경내로 들어가 아래에 열거한 순서대로 차례로 돌아본다.

신륵사템플스테이에서부터 세심정-동대탑중수비-보제존자석종-구형석조부도-팔각원당형석조부도-조사당-보제존자석종부도-극락보전-다층석탑-다층전탑-김병기송덕비-대장각기비-삼층석탑-강월헌까지 둘러본다.

 

신륵사에서 특이한 것은 보물이 참 많다는 것과 600년 전 고려 말 공민왕사 나옹스님이 심었다는 은행나무에 나타난 관세음보살님’... 그리고 남한강변 바위에 세워진 정자 江月軒(강월헌)’3층 석탑이다.

필자는 불교보물은 잘 모르겠고, 남한강변의 江月軒3층 석탑은 남한강과 함께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치를 연출해내고 있다.

江月軒에 올라 잠시 휴식하면서 남한강변의 경치를 음미해본다.

이때 절로 생각나는 것은 한 잔의 술이다.

그 옛날 누군가 이 정자에 올라 술 한 잔에 시() 한수 읊으며 세월을 노래했을 것이다.

 

江月軒을 마지막으로 신륵사를 뒤로 하고, 신륵사매표소-강변공원-관광상가-신륵사주차장-솟을삼문을 나와 신륵사버스정류장에 도착한다.

신륵사버스정류장에서 여주신륵사((神勒寺)구간 왕복2.7km의 여행을 마치고, 이제는 세종대왕릉과 효종대왕릉으로 이동한다.

 

날씨가 덥지만 않았어도 신륵사-세종대왕릉까지 8.0km를 걸었을 텐데, 요즘은 날씨가 너무 더우니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하기로 한다.

여강길5일 장터길이 신륵사-황포돛배선착장-여주도서관-연인교-영월루-여주시청-5일장터-대로사-양섬입구-세종산림욕장-효종대왕릉-세종대왕릉까지 8.0km가 개설되어 있다.

 

09:01분에 신륵사주차장입구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신륵사버스정류장에서 988번 버스타고 여주터미널에서 내린다.

여주터미널버스정류장에서 내려 횡단보도를 건너 도로건너편에 있는 여주터미널버스정류장에서 901, 903번 순환버스로 갈아타고, 여주역에서 내리면 되는데, 전광판의 안내는 이 버스가 언제 올지 나타나지도 않는다.

여주버스터미널-여주역까지는 1.7km밖에 되지 않으므로 차라리 걷는 것이 빠를 수 있겠다는 생각에 걸어가기로 한다.

 

그리고는 여주버스터미널버스정류장-버스터미널사거리-소양천교-소양천자전거길-얀마농업기계-교리교-여주역까지 1.7km를 걸어 20분 만에 여주역에 도착한다.

여주역-세종대왕릉역까지는 경강선전철을 타고, 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까지는 904번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영릉(英陵) 영릉(寧陵)구간

여주역에서 경강선전철을 타고 한 정거장인 세종대왕릉역에서 내려 세종대왕릉역버스정류장에서 기다리고 있는 세종대왕릉으로 가는 904번 시내버스에 올라탄다.

904번 버스는 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까지 평일에는 08:50-17:20분까지 하루10, 주말과 휴일에는 08:40-17:10분까지 하루18회 운행한다.

소요시간은 12-15분 정도 걸린다.

 

세종대왕릉에서 내려 본격적으로 세종대왕릉에서 효종대왕릉까지 둘러보고자 한다.

필자는 2011612일에 이미 세종대왕릉과 효종대왕릉을 둘러본바 있는데, 오늘 이곳을 찾은 목적은 왕의 숲길 세종대왕릉-효종대왕릉까지 0.7km와 영릉숲길 효종대왕릉-세종대왕릉까지 0.7km를 걷기 위해서다.

2011. 06/12

조선4대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동봉이실합장릉 영릉(英陵) 조선17대 효종대왕과 인선왕후의 동원상하릉 영릉(寧陵)

http://blog.daum.net/sansol/1449

 

세종대왕릉주차장을 지나 세종대왕릉매표소에서 무료입장권을 받고, 참고로 일반은 얼마인지 모르겠으나, 경로는 무료다.

세종대왕릉 정문격인 대문을 들어서면 왼쪽에는 건물보수공사를 하고 있고, 오른쪽에는 세종대왕 동상이 서 있고, 그 옆으로 재실이 있다.

훈민문을 들어서면 왼쪽에 작은 연못이 있고, 연못에는 갖가지 색의 커다란 금붕어들이 한가롭게 놀고 있다.

그런데 홍살문이 보이지 않는다.

홍살문이 있던 자리에 공사 중인 것을 보면 아마도 홍살문을 다시 세우는 모양이다.

 

공사 중으로 홍살문에서 세종대왕릉으로 직접 갈 수가 없어 오른쪽으로 돌아서 세종대왕릉으로 올라 가게 되어 있다.

세종대왕릉과 효종대왕릉은 드물게 릉() 앞까지 올라가서 눈앞에서 바로 릉()을 볼 수가 있다.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합장릉인 영릉(英陵)을 둘러본다.

 

Daum백과사전에 의하면, 영릉(英陵)은 조선왕릉 중에서도 천하의 명당자리라고 한다. 영릉덕분에 조선왕조의 국운이 100년은 더 연장되었다는 말이 공공연히 나돌 정도다. 이런 명성을 갖고 있는 영릉은 제4대 세종대왕(1397~1450)과 소헌왕후(1395~1446) 심 씨의 합장릉이다. 세종은 태종의 셋째아들로 1408년 충녕군에 봉해졌다.

세종대왕유적관리소: http://sejong.cha.go.kr/n_sejong/index.html

 

영릉(英陵)을 둘러보고 뒤돌아서 올라간 길로 다시 내려오면 효종대왕릉으로 가는 숲길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 길이 일명, “왕의숲길로 아름드리 소나무가 울창한 소나무숲길 세종대왕릉-효종대왕릉까지 0.7km.

필자는 이 왕의숲길을 걷고, 종점에서 효종대왕릉과 인선왕후릉이 아래위로 모셔진 영릉(寧陵)으로 올라간다.

세종대왕릉과 마찬가지로 효종대왕릉과 인선왕후릉도 릉() 앞까지 올라가서 눈앞에서 릉()을 둘러볼 수가 있다.

 

Daum백과사전에 의하면, 영릉(寧陵)은 제17대 효종대왕(1619~1659)과 인선왕후(1618~1674) 장 씨의 쌍릉으로 세종대왕릉에서 약700m지점에 있다효종은 1619년 인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봉림대군에 봉해졌고 12세에 한 살 위이며 신풍부원군 장유의 딸인 인선왕후 덕수 장 씨와 가례를 올려 16녀를 두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화도로 피신했으나 1637년 인조가 청 태종에게 삼전도에서 항복하자 볼모로 소현세자와 함께 선양으로 잡혀간다.

 

이렇게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영릉(英陵)을 둘러보고, 왕의숲길 세종대왕릉-효종대왕릉까지 0.7km를 걷고, 효종대왕과 인선왕후의 영릉(寧陵)까지 둘러본다.

그리고는 효종대왕릉주차장에서 영릉숲길 효종대왕릉-세종대왕릉까지 0.7km를 다시 걷는다.

영릉숲길 역시 왕의숲길과 마찬가지로 아름드리 소나무가 울창하게 들어서 있어 마치 산림욕장을 걷는 기분이다.

영릉숲길까지 걸으면 세종대왕릉주차장에서 마무리하게 된다.

 

왕의숲길과 영릉숲길은 매년 4-10월까지 개방을 하는데, 올해 2017년에는 4/26-10/31일까지 개방한다.

매주월요일은 정기휴무일이므로 이 날은 피해야 한다.

문의(031-885-3123), 세종대왕유적관리소: http://sejong.cha.go.kr

 

영릉(英陵)과 영릉(寧陵)을 둘러보고, 마지막으로 세종대왕릉주차장에서 당일로 여행한 여주여행을 모두 마무리 한다.

 

이제는 세종대왕릉버스정류장에서 904번 시내버스타고 세종대왕릉역에서 내리면 되는데, 이쯤해서 알아두어야 할 교통정보가 하나있다.

904번 버스의 운행경로를 알아둬야 한다.

904번 버스의 운행경로를 보면 갈 때는 세종대왕릉역-세종대왕릉-효종대왕릉 순으로 운행하고, 올 때는 역순으로 효종대왕릉-세종대왕릉-세종대왕릉역 순으로 운행하는 것이 아니고, 효종대왕릉-세종대왕릉역으로 바로 와 버린다.

 

고로, 세종대왕릉에서 세종대왕릉역으로 가고자 할 때는 버스가 세종대왕릉에서 효종대왕릉으로 갈 때 버스를 타야한다.

 

이 사실을 몰랐던 필자는 11:40분 버스가 들어오고, 이 버스가 효종대왕릉에서 세종대왕릉을 거쳐 세종대왕릉역으로 나갈 때 타려고 세종대왕릉버스정류장에서 기다렸는데, 이 버스는 효종대왕릉에서 세종대왕릉을 들리지 않고, 세종대왕릉역으로 곧바로 나가 버린다.

그 바람에 11:28분에 세종대왕릉버스정류장에 도착하고, 11:40분에 들어오는 버스를 타면 되는데, 상기와 같은 이유로 타지 않았다가, 결국은 11:40분 다음 차인 12:20분 버스를 타게 된다.

 

이 더운 날씨에 40여분을 허비하고, 12:20분에 세종대왕릉버스정류장에서 904번 버스를 타고 효종대왕릉을 거쳐 세종대왕릉역으로 나간다.

버스를 타고 나가면서 생각해 보니, 오늘은 아침도, 점심도 굶었다.

그래서 점심식사를 먼저 하기로 한다.

세종대왕릉역에는 식당이 전혀 없으므로 세종대왕릉역에서 0.7km 못 미쳐 능서버스정류장에서 내려 점심식사를 먼저 하기로 한다.

 

능서면소재지에는 식당이 비교적 많은 편인데, 몇 개 식당에서는 단체손님이 있다하여 개별손님은 받을 수가 없단다.

식당 찾아 15분정도 헤매다가 찾아낸 곳이 바로 탕아 대구탕’(031-883-67111)집이다.

대구지리탕(7,000), 막걸리(3,000)를 시켜 점심식사를 하는데, 대구와 지리의 양도 많이 주고, 맛도 기막히게 맛있다.

잘 찾아들었다는 생각이 든다.

 

식사 후 능서면소재지에서 세종대왕릉역까지 0.7km를 걷고, 세종대왕릉역에서 경강선전철을 타고, 판교역에서 신분당선으로 환승, 강남역에서 내린다. 다시 강남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 합정역에서 내려 M6117번 광역버스나 G6000번 굿모닝버스를 타면 더 빨리 집에 도착할 수가 있다.

 

그런데 김포한강신도시-강남역까지 다니는 M6427번 광역버스노선을 알아두기 위해 강남역에서 이 버스를 타 보기로 한다.

 

강남역에서 신분당선4번 출구로 나가 150m지점 KB국민은행 앞에 있는 강남역버스정류장에서 M6427번 광역버스를 기다리고 있는데, 거의 1시간이나 기다려도 버스는 오지 않는다.

이럴 때 나도 모르게 나오는 한 마디...18이다.

암튼, 그렇게 기다리다가 강남역버스정류장에서 M6427번 광역버스타고 풍경마을에서 내리면서 여주여행을 모두 마친다.

 



 

여주신륵사((神勒寺)탐방 왕복2.7km

http://blog.daum.net/sansol/3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