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백제유적탐방 12.4km, 제1부 금마터미널-익산토성까지 4.2km 2019. 04/01

산솔47 2019. 4. 23. 09:45

백제유적탐방 익산토성-무왕쌍릉-왕궁리유적까지 12.4km, 제1부 금마터미널-익산토성까지 4.2km

2019. 04/01 월요일



백제의 문화유적을 찾아 이번에는 전라북도 익산을 찾아간다. 익산에는 우리나라 최대의 사찰지인 미륵사지(彌勒寺址)를 비롯해서 서동의 생가터, 익산토성(益山土城), 익산쌍릉(雙陵/왕릉.소왕릉), 왕궁리유적(王宮里遺蹟)등이 있다.


12:30-15:25

백제유적탐방 익산토성-무왕쌍릉-왕궁리유적까지 12.4km/2:55

course

금마버스터미널-원불교금마교당-알뜰금마제일주유소-서동생가터-연방죽가든-토성황토방-애스앤비-익산토성입구.갤러리서동(2.8km)-익산토성일주-익산토성입구(1.4km)-삼정원-동그라미재활원-익산쌍릉(대왕릉)-익산쌍릉(소왕릉)-익산쌍릉주차장(2.1km)-팔봉장례식장-덕기교-팔봉교차로-왕궁리유적전시관매표소(2.7km)-왕궁리유적지-북문터(0.9km)-호남로굴다리-동고도리석불입상-서고도리석불입상-금마천목책교.금마천-석불교-무왕교-금마버스터미널(2.5km)

소요시간: 12.4km/5:30분분, 평균속도(4.22km/시속)


금마버스터미널

금마버스터미널에서 나와 오른쪽 금마종합약국-백제의원-제일치과방향으로 진행하고, 280m지점에서 다리를 건너 왼쪽 원불교금마교당 방향으로 꺽어진다.



연동제 서동생가터

서동은 서울 남쪽 못가에 살던 과부 어머니와 그 못에 살던 ''사이에서 태어났다. 신라 진평왕의 셋째딸 선화공주가 예쁘다는 소문을 듣고 머리를 깎고 중처럼 차려 입고 신라의 수도에 와서 성안의 아이들에게 ''를 주면서 서동요라는 노래를 지어 주고 부르도록 했다.

신라 진평왕은 이 노래를 듣고 선화공주를  귀양 보내고, 서동이 이 선화공주를 백제로 데려와서 서동은 무왕이 되고 선화공주는 왕비가  되었다.



익산토성(益山土城)입구



익산토성(益山土城).오금산성(五金山城)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오금산 구릉에 위치한 백제시대 산성으로 오금산봉우리에서 동서로 뻗은 100m안팎의 산등성이에 쌓은 포곡식(包谷式) 산성이다.

뒤에는 미륵산이 있고 앞쪽은 익산평야가 내려다 보인다. 삼국통일 후 고구려의 왕족인 안승(安勝)이 보덕국(報德國)을 세웠던 곳이라고도 전하여 보덕성이라 부르기도 한다. 6세기말 내지 7세기초에 축성 된 것으로 추정되며, 둘레는 690m정도 된다.

왕궁리성지라 불리우는, 왕궁리유적 *1998917일 사적 제408호로 지정된 유적으로 면적은 216,862에 이른다. ‘왕궁리성지라고도 부르며 마한·도읍지설, 백제 무왕의 천도설이나 별도설, 안승의 보덕국설, 후백제 견훤의 도읍설이 전해지는 유적이다.

발굴조사한 결과, 이 유적은 적어도 세 시기(백제 후기통일신라 후기)를 지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석탑 동쪽으로 30m 지점에서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보이는 기와 가마 2기를 발견했다. 특히, 탑을 에워싼 주변의 구릉지를 중심으로 직사각형 모양의 평지성으로 생각되는 성곽 유물을 찾았다.











































백제유적탐방 익산토성-무왕쌍릉-왕궁리유적까지 12.4km, 제2부 익산쌍릉-금마터미널까지 8.2km

http://blog.daum.net/sansol/4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