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김포한강신도시 모허가운 일주산행 21.7km길잡이 2020. 08/21

산솔47 2020. 9. 7. 09:50

김포한강신도시 모허가운 일주산행 21.7km길잡이

2020. 08/21 금요일

 

 

김포한강신도시에는 신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모담산, 허산, 가현산, 운유산 등 4개의 산이 있다. 4개의 산은 근린공원으로 신도시주민들이 운동 겸 산책으로 많이 찾고 있는 산이다4개의 산을 연결한 모담산-허산-가현산-운유산을 모허가운이라고 필자가 임의로 정하고, 이 4개의 산을 이어서 걷기로 한다.

이 외에 용화사를 품고 있는 아주 작은 운양산이 있기는 한데 이 산은 산책로도 없고, 특별한 것이 없어 주민들이 거의 찾지 않는 산이므로 제외했다.

구간별 거리는 산과 산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1부 모담산구간은 금빛수로북단-모담산-검은다리사거리까지 5.35km, 2부 허산구간은 검은다리사거리-허산-솔터힐링유아숲체험원까지 5.5km, 3부 가현산구간 솔터힐링유아숲체험원-가현산-마산역까지 5.7km, 4부 마산역-운유산-금빛수로북단까지 3.85km 20.4km로 한다.

여기에 들머리 청송마을-금빛수로북단까지 0.65km, 날머리 금빛수로북단-청송마을까지 0.65km 1.3km를 감안하면 총 21.7km가 된다.

 

 

05:16-12:07(6:51)

김포한강신도시 모허가운 일주산행 21.7km/6:08, 평균속도(3.54km/시속), 점심식사(43)

 

05:16-06:42

1부 모담산구간은 금빛수로북단-모담산-검은다리사거리까지 6.0km/1:26

course

청송마을(0.65km)-금빛수로북단-금빛수로7-청송교-6-5-한강로사거리-인공폭포사거리(1.7km)-모담산-구름다리-잔디광장-모담산정상팔각정전망대(1.5km)-김포아트빌리지(0.85km)-한옥마을-운양교-김포대로1216번길-검은다리사거리(1.3km)

소요시간: 6.0km/1:26, 평균속도(4.17km/시속)

모담산(73.2m)

김포시 운양동에 있는 높이 73.2m의 모담산은 샘재의 진산으로 옛부터 시월 중정일에 당제를 지낸 도당산으로 모담산 중턱에서 샘물이 흘러 천현이라는 마을명칭을 사용했다. 20099월 중순경 구제발굴조사에서 3세기 무렵 마한세력의 분묘 군이 대량 발굴돼 학계에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1800년 전 최고의 금귀고리를 비롯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3기와 원삼국시대 주구목관묘 20, 시대미상 석곽 4, 마한시대의 주구 목관묘, 기타 토기류, 구슬류, 철검, 철촉, 환두대도 같은 유물이 대거 출토됐다.

모담산의 높이는 인터넷에서 찾을 수가 없는데, )지역문화전략연구원의 카페에 73.2m로 나와 있어 필자도 이 높이를 적용한다.

)지역문화전략연구원 http://cafe.daum.net/jounghyunchai

 

 

06:42-08:06

2부 허산구간은 검은다리사거리-허산-솔터힐링유아숲체험원까지 5.5km/1:24

course

검은다리사거리-옹주물삼거리-옹정교(0.75km)-금빛근린공원-김포한강3로생태육교-허산정상.헬기장-삼거리상회(3.2km)-솔내공원갈림길-솔터힐링유아숲체험원(1.55km)

소요시간: 5.5km/1:24, 평균속도(3.82km/시속)

허산(52m)

김포시 장기동과 인천시 서구 대곡동의 경계선에 있는 높이 52m의 허산은 김포한강신도시장기지구를 남서쪽에서 감싸고 있는 나지막한 산으로 한강센트럴자이아파트에서 솔내공원까지 이어져 있어 주민들이 산책하기에 좋은 코스다.

허산은 인터넷을 검색해 봐도 높이를 찾을 수 없는데, 허산능선 생태통로에 세워진 등산안내도에는 높이가 52m로 표기되어 있다.

그런데 이 표기는 잘못된 것 같다. 이 등산안내도의 표기와 가현산, 운유산의 높이를 비교해 보니 인터넷지도와도 틀리고, 정상표지석의 표기와도 맞지가 않는다.

그래도 확실한 높이를 찾을 수가 없어 허산등산안내도에 표기되어 있는 52m를 적용토록 한다.

허산의 등산안내도에는 허산 52m, 가현산 173m, 운유산 94m로 되어 있다.

 

 

08:06-09:54

3부 가현산구간 솔터힐링유아숲체험원-가현산-마산역까지 5.7km/1:48

course

솔터힐링유아숲체험원-산복도로-새날교회갈림길(1.4km)-가재약수터기점-비석기점-가현산진달래동산.정상표지석(1.2km)-가현정-삼형제바위-약수터기점-은여울공원(1.6km)-은여울초.중교후문-은여울육교-은샘공원-마산역(1.5km)

소요시간: 5.7km/1:48, 평균속도(3.04km/시속)

가현산(215.3m)

김포시 양촌읍 대포리와 인천 서구 금곡동 사이에 하천이 하나 있는데, 길이 1.65km의 작은 지방하천인 대포천이다. 대포천의 물줄기는 가현산에서 시작된다.

가현산은 칠장산, 구봉산, 석성산, 광교산, 수리산, 계양산, 문수산으로 이어지는 한남정맥 중 인천구간의 북서쪽 끝에 해당한다.

가현산은 인천시 사람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겠지만 김포한강신도시가 들어서면서 김포시 사람들에게는 많이 알려진 산이다. 매년 봄이 되면 가현산에 진달래꽃이 흐드러지게 피고 있고, 진달래꽃축제가 열리기 때문이다.

인천in.com 인터넷신문: http://www.incheonin.com

가현산의 높이는 허산등산지도에는 173m, 네이버지도에는 214.9m, 정상표지석에는 215.3m로 표기되어 있는데, 필자는 정상표지석에 새겨져 있는 215.3m를 적용하기로 한다.

 

 

09:54-12:07(2:13)

4부 운유산구간 마산역-운유산-금빛수로북단까지 4.5km/1:30

course

마산역-김포한강8-천주교마산동성당-평화공원(0.55km)-운유산쉼터-웨스트이등하우스-운유산정상표지석(1.5km)-운유산농원-김포한강6(0.8km)-사랑하는장로교회-선수장로교회-김포한강6.4로교차로-금빛수로북단(1.0km)-청송마을(0.65km)

소요시간: 4.5km/1:30, 평균속도(3.0km/시속), 점심식사(43)

운유산(101.6m)

운유산에 대해서는 인터넷을 검색해봐도 특별하게 설명된 곳이 없다. 운유산은 정상에 운유산농원이 있고, 최근에 운유산자락에 김포한강3로를 따라 운유지하차도사거리에서 천주교미사동까지 둘레길이 개설되어 있다.

운유산은 운유산둘레길을 따라 한강신도시호수공원까지 걸을 수도 있고, 운유산마루금을 따라 운유산농원입구에서 한강신도시호수공원까지 걸을 수도 있어 좋다.

운유산의 높이는 허산등산지도에는 94m, 네이버지도에는 101.6m, 정상표지석에는 m로 되어 있는데, 필자는 네이버지도에 표기되어 있는 101.6m를 적용토록 한다.

 

11:02-11:45 점심식사(43/14,000)

모담산-허산-가현산-운유산 등산을 마치면서 김포시 김포한강4로 통영 해물뚝배기(031-987-9810)에서 해물탕(10,000), 막걸리(4,000 ) 등으로 점심식사를 한다.

 

 

 

 

김포한강신도시 모허가운 일주산행 21.7km, 제1부 모담산구간 금빛수로북단-모담산-검은다리사거리까지 6.0km

blog.daum.net/sansol/4894

 

제1부 모담산구간 금빛수로북단-모담산-검은다리사거리까지 6.0km 2020. 08/21

제1부 모담산구간 금빛수로북단-모담산-검은다리사거리까지 6.0km 2020. 08/21 금요일 김포시 운양동에 있는 높이 73.2m의 모담산은 샘재의 진산으로 옛부터 시월 중정일에 당제를 지낸 도당산으로 ��

blog.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