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서울종로구 종묘와 탑골공원, 운형궁길잡이 2021. 11/11

산솔47 2021. 12. 13. 22:45

서울종로구 종묘와 탑골공원, 운형궁길잡이

2021. 11/11 목요일

 

 

지난 며칠사이 서울에 있는 조선시대 5대궁궐을 둘러보고, 이어서 오늘은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왕과 왕비의 신주(神主)를 봉안한 사당인 종묘(宗廟)191931일에 독립선언서가 낭독되었던 탑골공원, 그리고 조선시대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집인 운현궁(雲峴宮)까지 둘러보기로 한다.

 

 

08:10-11:20

서울종로구 종묘와 탑골공원, 운현궁탐방(3:10)

course

세종로사거리-청계광장-청계천-모전교-광통교-광교-장통교-삼일교-수표교-관수교-세운교-세운상가-다시세운광장-세운상가전망대(코로나로중단)-세운전자박물관-종묘광장공원-종묘외대문-공민왕신당-향대청-남신문-종묘정전-영녕전-종묘외대문-피맛골-종로3가역-탑골공원삼일문-탑골공원-원각사비-팔각정-독립선언비-서울원각사지십층석탑-탑골공원삼일문-종로2가교차로-낙원악기상가-서울교동초등학교-운현궁-안국역-창덕궁정류장

 

청계천(淸溪川)

서울시 종로구에 있는 북악산,인왕산의 부근에서 발원하여 시가지 중심부를 동쪽으로 흘러 중랑천으로 흘러드는 청계천(淸溪川)은 총길이는 5.84km이고, 하루 물 소비량은 12t이나 된다.

청계천(淸溪川)은 서울을 도읍으로 정한 조선시대부터 정비가 시작되었다. ‘개천이라는 이름이 청계천으로 불리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 때였다.

방치되어 있던 청계천은 1925년부터 종로구 신교동에서 도렴동까지, 1937년에는 태평로에서 무교동 구간이 복개되었고, 이후 1955년 광통교 상류를 시작으로 19701977년 청계 8가에서부터 신답철교까지 또다시 복개되었다. 1960~70년대 근대화의 상징이었던 청계천은 자연환경과 역사문화를 복원한다는 취지로 복원사업이 시작되었는데, 복원구간은 태평로에서 신답철교까지이며, 공사는 20037월부터 20059월까지 약 3,900억원을 투입하여 진행되었다.

(daum백과)

 

종묘(宗廟)

서울시 종로구 훈정동 1번지에 있는 종묘(宗廟)는 조선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사당이다.

창덕궁과 창경궁의 남쪽에 인접해 있는데, 조선시대에는 서로 연결되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도로가 나면서 끊기고, 현재는 육교로 연결되어 있다.(위키백과)

 

피맛골

피맛골은 서울시 종로구 166번지 일대로 종로1가에서 종로6가까지 이어지는 비좁은 골목길이다.

조선시대 서민들이 종로를 지나는 고관들의 말을 피해 애용하던 뒷골목인데, 당시에는 신분이 낮은 사람들은 말을 탄 고관대작을 만나면 행차가 끝날 때까지 엎드려 있어야 했다.

때문에 갈길 급한 서민들이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이용했는데 피마(避馬)에서 유래해 이름이 붙었다. 1980년대 도심재개발지역으로 지정되었고, 2003년 서울시건축위원회에서 재개발을 허가했다.

그러나 공사현장에서 조선시대 유물이 다수 발견되었고, 역사적인 전통거리가 사라진다는 비판이 거듭 재기되었다.

이에 종로2가에서 종로6가에 걸쳐있는 피맛골은 수복재개발구역으로 지정해 예전 피맛골의 모습을 재현하기로 했다.

 

탑골공원

서울시 종로구 종로에 있는 탑골공원은 조선시대 중종 때, 원각사 건물이 모두 헐려나간 빈 터에 조성된 공원으로 191931일에 독립선언서가 낭독 된 곳이다.

1992년 파고다공원에서 탑골공원으로 개칭했고, 팔각정을 중심으로 3·1운동 기념탑, 3·1운동 벽화, 의암 손병희 동상, 한용운 기념비 등과 원각사지 10층석탑, 대원각사비등의 문화재가 있다.(daum백과)

 

운현궁(雲峴宮)

서울시 종로구 운니동에 있는 운현궁(雲峴宮)은 한성부 중부 정선방에 있던 흥선대원군의 집이자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명복(고종)이 태어나 왕위에 오르기 전까지 살았던 곳이다.

이곳은 원래 지명인 구름재에서 이름을 따와 운현궁이라 불리게 되었는데, 운현궁(雲峴宮)은 고종이 명성황후와 가례를 치른 곳이고, 흥선대원군이 섭정을 하며 나랏일을 보던 곳이기도 하다.

한양 내의 궁 중 유일하게 보존되어 있고, 소규모의 궁궐과 같이 사대문을 갖춘 곳으로 궁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daum백과)

 

 

지난 며칠사이 서울에 있는 조선시대 5대궁궐을 모두 둘러봤다.

그 일환으로 오늘은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왕과 왕비의 신주(神主)를 봉안한 사당인 종묘(宗廟)191931일에 독립선언서가 낭독되었던 탑골공원, 그리고 조선시대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집인 운현궁(雲峴宮)까지 둘러보고자 한다.

 

교통편의상 시점을 청계광장으로 하고 청계천산책로를 따라 청계광장-세운교까지 1.6km를 걷고, 세운교에서 세운상가를 거쳐 종묘로 이어가고자 한다.

청계천은 필자가 최근에 2018. 08/14, 2020. 10/03, 그리고 2021. 10/11일에 걸은 바가 있다.

2018. 08/14

청계천산책로 용두역-광화문까지 야경6.9km

길잡이: https://blog.daum.net/sansol/4185

사  진: https://blog.daum.net/sansol/4186

2020. 10/03

서울 청계천종주 청계광장-응봉역까지 10.8km

사  진: https://blog.daum.net/sansol/4932

2021. 10/11

서울종로구 청계천산책로 청계광장-한양대역까지 10.0km

사  진: 1 청계광장-하늘다리(존치교각)까지 4.9km https://blog.daum.net/sansol/5183

          2 하늘다리(존치교각)-한양대역까지 5.1km https://blog.daum.net/sansol/5184

 

 

청계천에서 세운상가로 올라가 다시세운광장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옥상전망대로 올라가려 했으나 요즘 코로나19 때문에 옥상전망대가 일시 폐쇄되었단다.

세운상가옥상전망대에 올라가면 삥-둘러 남산N타워를 비롯해서 북악산과 북한산, 그리고 가깝게는 종묘가 한 눈에 들어오는데, 너무 아쉽다.

필자는 2017. 10/07일과 2019. 07/20일에 다녀온 바 있는데, 옥상전망대에 올라서면 전망이 너무 좋다.

2017. 10/07

서울도심여행 세운상가9층 서울옥상전망대

길잡이: https://blog.daum.net/sansol/3903

사  진: https://blog.daum.net/sansol/3910

2019. 07/20

서울도보관광 잠두봉전망대-정동전망대-서울전망대-종묘까지 9.6km

길잡이: https://blog.daum.net/sansol/4575

사  진: 1부 잠두봉전망대 https://blog.daum.net/sansol/4576

          2부 정동전망대 https://blog.daum.net/sansol/4577

          3부 서울전망대 https://blog.daum.net/sansol/4580

          4부 종묘 https://blog.daum.net/sansol/4581

 

 

세운상가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왕과 왕비의 신주(神主)를 봉안한 사당인 종묘(宗廟)로 들어선다.

그런데 종묘의 정전이 지금 한창 보수공사 중으로 가까이에서는 볼 수가 없다. 공사기간은 2020. 06/22일부터 2022. 12/08일까지다.

- 발치에서 정전을 둘러보고, 영녕전(永寧殿)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영녕전은 공사 중이 아니라서 가까이에서도 둘러볼 수가 있다.

 

입동(立冬)이 지나 겨울로 접어든 이때 아직 마지막 단풍이 남아 있어 종묘산책로가 곱게 물들어 있다.

종묘를 빠져 나와 조선시대 서민들이 종로를 지나는 고관들의 말을 피해 애용하던 피맛골을 걸어본다.

지금은 피맛골이 대부분 현대식으로 개발되고, 옛 길은 150m 정도 남아 있는 것 같다.

 

피맛골을 지나 191931일에 독립선언서가 낭독되었던 탑골공원으로 들어선다.

그런데 탑골공원 정문인 삼일문을 들어설 때 체온을 체크하고, 손에 소독제를 바르도록 한다.

안으로 들어서니 왠일인지 많은 노인분들이 의자에 앉아 있다.

탑골공원팔각정과 대원각사비, 유리건물 안에 우-뚝 서 있는 원각사지십층석탑 등을 둘러보고는 빠르게 탑골공원을 빠져 나온다.

 

탑골공원을 빠져 나와 운현궁(雲峴宮)으로 이동하려는데, 도로변에 종로구에서 시행하는 코로나19 선별검사를 하고 있다. 혹시 몰라서 필자도 코로나19 검사를 받는다.

 

운현궁(雲峴宮)으로 가면서 보니 도로변에 조광조(趙光祖)선생 집터와 지석영선생의 집터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대한민국 최초의 초등학교인 서울교동초등학교를 만난다. 서울교동초등학교는 관립교동소학교로 1894(고종 31) 918일에 한국최초의 초등학교로 개교한 학교란다.

 

이제 마지막 코스인 조선시대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집인 운현궁(雲峴宮)에 도착한다.

필자는 2018. 05/11일과 2019. 10/10일에 운현궁(雲峴宮)을 둘러본바 있다.

2018. 05/11

종로구 흥선대원군의 운현궁(雲峴宮)

사  진: https://blog.daum.net/sansol/4075

2019. 10/10

대원군 이하응의 사저, 운현궁(雲峴宮)

사  진: https://blog.daum.net/sansol/4659

 

운현궁(雲峴宮)에서 노안당(老安堂), 노락당(老樂堂), 이로당(二老堂), 유물전시관 등을 들러보고 운현궁을 나와 안국역으로 이동한다.

 

 

 

 

서울종로구 제1부 청계천산책로 청계광장-세운상가까지 km

https://blog.daum.net/sansol/5222

 

서울종로구 청계천산책로 청계광장-세운상가까지 2.1km 2021. 11/11

서울종로구 청계천산책로 청계광장-세운상가까지 2.1km 2021. 11/11 목요일 지난 며칠사이 서울에 있는 조선시대 5대궁궐을 둘러보고, 이어서 오늘은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왕과 왕

blog.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