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남산국치길 6.5km, 제1부 남산골한옥마을-중앙정보부공관까지 2.1km(43) 2022. 07/16
서울남산국치길 남산골한옥마을-서울로7017공원까지 6.5km, 제1부 남산골한옥마을-중앙정보부공관까지 2.1km(43)
2022. 07/16 토요일
남산국치(南山國恥)길은 말 그대로 나라의 수치인 일제침탈의 흔적을 돌아보는 역사탐방로로 한국통감관저터-한국통감부-노기신사-경성신사-한양공원-조선신궁 등으로 이어지는 1.7km구간이고, 남산인권(南山人權)길은 퇴계로26가길로 중앙정보부6국터-5국터까지 0.93km다.
필자는 교통편의상 충무로역에서 시작해 남산골한옥마을을 거쳐 인권길-국치길-서울역까지 6.5km를 걷기로 한다.
10:00-15:12(5:12분)
서울 남산국치길 남산골한옥마을-서울로7017공원까지 6.5km/3:47분
course
충무로역(3번)-남산골한옥마을-옛중앙정보부5별관(서울시중부공원녹지사업소)-옛중앙정보부6별관(서울종합방재센터)-일본군위안부기억의터-옛중앙정보부장공관(문학의집.서울)-남산예장공원.이회영기념관-경성신사터(숭의여자대학교)-노기신사터(남산원)-한양공원-조선신궁터-안중근광장-안중근기념관-백범광장-도동삼거리-남산육교-서울로7017공원-서울역
소요시간: 6.5km/3:47분, 평균속도(1.73km/시속), 점심식사(1:25분)
서울남산골한옥마을입구
옛중앙정보부5별관(서울시중부공원녹지사업소)
옛중앙정보부6별관(서울종합방재센터)
일본군위안부 기억의 터
일본군위안부 기억의 터는 일본제국주의 치하 위안부피해자들의 고통과 아픔을 함께 나누고 굴욕의 역사를 기억하자는 뜻에서 2016년 8월29일 국치일을 맞아 서울 남산 예장동 자락에 조성하였다.
위안부기억의 터 자리는 일본 통감관저가 있던 곳으로 1910년 8월22일 한일병탄조약이 체결된 국치의 장소다.
한국통감관저터
일본군위안부 기억의 터에 한국통감관저터가 있다.
한국통감관저는 1910년 한일강제병합조약(경술국치庚戌國恥)이 체결된 곳으로 일본의 라우치 마사다케와 조선의 총리대신 이완용이 강제병참조약을 조인한 현장이고, 이토 히로부미가 통감으로 부임하여 대한제국의 주권을 탈취하는 공작을 폈던 곳이다.
하야시 곤스케의 거꾸로 세운 동상
일본군위안부 기억의 터에 하야시 곤스케의 거꾸로 동상이 세워져 있다.
하야시 곤스케는 을사늑약을 강요한 사람으로 일제는 그 공으로 남작지위를 내리고 국치를 당한 이곳 한국통감관저에 동상을 세웠는데, 후에 흩어진 동상 잔해를 모아 일종의 응징으로 일부러 거꾸로 세워놓았다.
서울남산국치길 남산골한옥마을-서울로7017공원까지 6.5km, 제2부 중앙정보부공관-한양공원까지 2.1km(43)
https://blog.daum.net/sansol/5422
서울남산국치길 6.5km, 제2부 중앙정보부공관-한양공원까지 2.1km(43) 2022. 07/16
서울남산국치길 남산골한옥마을-서울로7017공원까지 6.5km, 제2부 중앙정보부공관-한양공원까지 2.1km(43) 2022. 07/16 토요일 남산국치(南山國恥)길은 말 그대로 나라의 수치인 일제침탈의 흔적을 돌
blog.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