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솔계획

울릉도둘레길 62km 4박5일 자유여행 2012. 02/29-04(4박5일)

산솔47 2012. 2. 16. 11:31

울릉도의 산과 바다, 밀림을 모두 만나볼 수 있는 울릉도둘레길

 

 

울릉도둘레길은 총 80km로 나와 있는데 하루 평균 20km 정도 걷는다고 계산하면 4일 정도 걸리고 한 시간에 3km 정도 걷는다면 하루에 7시간 정도 걸으면 됩니다.

이번에는 독도와 나리분지, 성인봉 등산은 생략하고 순수하게 울릉도 해안을 따라 한 바퀴 일주하는 둘레길 약 62km를 걸을 예정입니다.

 

울릉군 울릉도둘레길 62km

서울에서 셔틀버스/묵호항에서 씨풀라워/울릉도에서 자유여행 45

2012. 02/29()~04()

45일 일정으로 전문단체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고 순수하게 개인적으로 가며 숙소는 주방시설이 마련되어 있는 민박으로 확정했습니다.

...................................................................................................................................................

 

 

울릉도 관광가이드

누림여행사 http://nulimtour.com/main/index.asp

울릉도숙박 누림여행사 울릉도팀장 이성범(010-3124-8690)

울릉도민박/펜션 http://www.ulleung.go.kr/tour/page.htm?mnu_uid=570&tcg_uid=111

묵호여객선터미널 : 033-531-5891

묵호여객선터미널-울릉도 여객선승선권 예약전화 1544-5117

대아고속해운 : http://www.daea.com/main/main.html

울릉군청 http://www.ulleung.go.kr/Wooreumoe/main.htm

울릉군 관광정보 http://www.ulleung.go.kr/tour/

울릉군 문화관광체육과 054-790-6392

울릉도기상대 날씨문의는 일주일전에 : 054-791-4365

울릉도 날씨 :

3월초는 날씨가 예년에 비해 쌀쌀하다니까 방풍의 등 따뜻하게 준비하세요.

2/29() 기온(), 바람(), 파도(), /()

3/01() 기온(), 바람(), 파도(), /()

3/02() 기온(), 바람(), 파도(), /()

3/03() 기온(), 바람(), 파도(), /()

3/04() 기온(), 바람(), 파도(), /()

울릉도 보건의료원 054-791-2110, 응급실 054-791-0112

울릉도내 대중교통은 40분 간격으로 순환버스 운행, 요금(기본 1,000)

순환버스는 도동-천부까지 하루 왕복18회 운행, 도동-저동-봉래폭포-내수전, 천부-선창-삼목 등 운행

무릉교통 054-791-7910/8000

...................................................................................................................................................

 

 

울릉도 45일 소요경비

교통비 :

서울-묵호항(왕복 33,000)...........................................................................

우리은행 1005-301-752551 ()누림

33,000*5=(165,000)

묵호항-울릉도(왕복 98,000+터미널사용료 1,500=99,500=100,000).........................

일반인 출항(50,500)+입항(49,000)=(99,500)

장애인 출항(40,700)+입항(39,200)=(79,900)

일반인(99,500*4=398,000), 장애인(79,900*1=79,900)=(477,900)

식사비

직접(11) 해먹는데 일부는 매식(100,000).......................................................

숙박비 :

70,000*4=280,000/5=(56,000)...........................................................합계(300,000)

...................................................................................................................................................

 

울릉도여행 준비사항

신분증. 아이젠, 우비, 개인상비약, 세면도구, 랜턴, 커피, 종이컵, 나무젓가락, 점심용 도시락그릇 등

, 삼겹살, 참치, 고추장, 된장, 감자, 마늘, 대파, 청양고추, 고추가루, 소금, 조미료 등 주부식 및 찌개용 양념류

김치, 깻잎, 멸치볶음, 장조림 등 밑반찬류

코펠, 버너, 부탄가스, 후라리팬, 라이터, 수세미, 퐁퐁, /국그릇, 수저/젓가락, 접시, , 도마 등 비품류는

주방시설이 준비되어 있는 숙소를 이용할 예정이니까 준비를 안 해도 됩니다.

 

울릉도 특미 : 오징어내장탕, 약소고기

...................................................................................................................................................

 

울릉도 교통정보

서울-울릉도 갈때

서울-묵호항(누림여행사/02-757-2500/셔틀버스 3시간)

04:10 전철 1호선 영등포역 신세계백화점 정문 앞

04:30 전철 1,2호선 시청역 2번출구 덕수궁 대한문(정문)

05:00 전철 2호선 잠실역 4번 출구 100m전방 롯데마트 앞에서 출발

08:00 묵호항 도착

묵호항-울릉도 도동항(쾌속선/씨풀라워 3시간)

09:00 묵호항에서 쾌속선 씨풀라워 출발

12:00 울릉도 도동항 도착

 

울릉도-서울로 올때

울릉도 도동항-묵호항(쾌속선 3시간)

15:30 도동항에서 쾌속선 씨풀라워호 출발

18:30 묵호항 도착

묵호항-서울

18:50 묵호항에서 셔틀버스 출발

21:50 잠실역 도착(잠실역-시청역-영등포역 순으로 운행)

..................................................................................................................................................

 

 

울릉도 45일 일자별 세부계획

1일차(2/29 수요일)

05:00 셔틀버스 잠실역 출발

08:00 묵호항 도착

09:00 씨풀라워호 묵호항 출발

12:00 울릉도 도동항 도착

 

행남해안산책로(도동항-저동항까지 4.3km)-내수전(저동항-내수전몽돌해변-내수전버스종점까지 2.5km)

(6.8km/3시간)

도동항/울릉도여객선터미널-행남해안산책로-등대갈림길(등대까지500m)-행남등대/행남전망대(2.0km)-등대갈림길-유선형계단-촛대암해안산책로-촛대암-저동항(2.3km)-내수전버스종점(1.5km)-내수전몽돌해변-내수전버스종점(1.0km)-(숙박)

 

봉래폭포(저동항-봉래폭포까지 왕복6.4km/2시간30)

 

울릉군 울릉읍 내수전버스종점(저동3)에서 숙박

해맞이민박(010-7396-0032/054-791-2953) :

내수전버스종점에 있고 주방시설이 되어 있으며 주방시설 이용하고 5160,000

울릉항민박(054-791-1232) :

내수전버스종점 부근 51실 대(70,000), (50,000)

 

 

2일차(3/01 목요일)

울릉둘레길(내수전버스종점-내수전전망대까지 2.6km)-내수전길(내수전전망대-석포전망대까지/7.0km)-해안일주도로(석포전망대-관음도-삼목까지 3.7km)-해안일주도로(삼목-천부항까지 5.7km)

(19.0km/7시간30)

내수전버스종점-약수터갈림길-내수전몽돌해변-약수터갈림길-내수전약수터-도로끝/내수전전망대갈림길-내수전전망대(2.6km)-내수전전망대갈림길-정매화곡쉼터-와달리감림길-석포방향-울릉도특산물 전망대-붉은벽돌담장갈림길-곧장 석포마을로 올라간다-석포마을-석포버스종점/석포전망대/석포마을쉼터(5.1km)-석포교회-석포교회갈림길-왼쪽 석포전망대 방향으로-석포전망대갈림길-왼쪽 쇠줄넘어 석포전망대방향으로-전망대-보루산 두루봉(281m)/석포전망대(1.9km)-석포전망대갈림길-섬목방향으로-석포마을입구/선창(2.0km)-해안도로에서 오른쪽으로-선녀탕/바위굴-관선터널-연육교-관음도-관선터널-섬목/해안일주도로끝(1.7km)-선창-삼선암-죽암-죽암몽돌해변-북면 천부항/천부버스정류장(5.7km)-(숙박)

 

울릉군 북면 천부항버스정류장(천부1)에서 숙박

반도민박(054-791-6062) :

천부버스정류장 부근에 있고 주방시설이 되어 있으며 주방시설 이용하고 5150,000

 

울릉군 북면 천부항-추산항까지 1.8km 전방에서 숙박

2일 추산까지 가면 전체 걷는 거리 20.8km

추산다이브리조트(054-791-0107/011-300-9835) :

동구미어촌계 바닷가 수중다이버들을 위한 리조트로 2415명용 독채형식 51100,000

울릉아일랜드펜션(054-791-3961/010-5473-7025) :

동구미어촌계 바닷가에 위치한 펜션으로 추산리조트보다 좋아 보여 51100,000

 

 

3일차(3/02 금요일)

해안일주도로(천부항-현포항까지 5.0km)-울릉둘레길(현포항-태하항까지 3.2km)-대풍감길(태하모노레일-태하등대/태하전망대-황토굴-태하항까지 3.1km)-일주도로(태하항-남양항까지 10.0km)

(21.3km/8시간30)

천부항-(나리분지)-추산몽돌해변-추산항-동구미어촌계-송곳봉-노인봉-예림원-현포항(5.0km)-울릉둘레길갈림길/울릉둘레길(남양-태하까지6.8km)-현포전망대-현포령/풍차(2.7km)-태하항(3.2km)-(태하모노레일/편도2,000)-향나무재/항목령-태하등대/태하전망대(0.7km)-인간시대출연가옥갈림길(70m)-향나무재/항목령-오른쪽으로-태하해안산책로-해안전망대-유선형계단/황토구미/황토굴-태하모노레일-태하항(2.4km)-태하천/현포령갈림길-오른쪽 남양방향으로-태하천/태하령갈림길-오른쪽 태하교를 건너 남양/학포방향으로-태하터널-(만물상전망대)-산막터널-수층터널-유선형수층교-곰바위터널-구암마을-사태감터널-해안선착장에 남근바위-구암터널-남서터널-사자바위-남양선착장-(울릉서중학교-남양일몰전망대-현무암주상절리)-서면 남양항(10.0km)-(숙박)

태하향목관광모노레일(태하해변-태하등대진입로까지 304m) 왕복 4,000

 

항목령옛길(현포령-태하등대/태하전망대까지 2.3km/1시간)

현포령-해군제118조기경보건대갈림길-오른쪽으로-헬기장-갈림길에서왼쪽-주등산에서오른쪽-태하등대/태하전망대(2.3km)

학포옛길(태하항-학포까지 1.8km/30)

태하항-태하천/태하2-삼도사-학포옛길-학포항(1.8km)

 

울릉군 서면 태하항(태하1)에서 숙박

황토구미민박(054-791-0050) : 겨울에는 안하고 3월초에는 가능 태하교회 아래 5150,000

진미민박(054-791-5405) : 삼거리부근 방갈로 5150,000

울릉군 서면 남양항(남양1)에서 숙박

대구(남양)민박(054-791-5223) : 남양농협 바로 뒤 5170,000

 

 

4일차(3/03 토요일)

해안일주도로(남양항-도동항까지 14.3km/5시간)

남양항-남양피암터널-남양터널-통구미터널-얼굴바위-낙타바위-통구미마을-해변가 거북바위-통구미몽돌해변-가두봉등대-가두봉터널-울릉신항-사동항(5.3km)-사동해수욕장-해안산책길-아랫구석-와록사-울릉도기상대입구-유선형울릉대교-울릉중학교/울릉읍사무소-도동약수공원/독도박물관(8.0km)-(케이불카)-망향봉/독도전망대-망향봉전망대-도동약수공원-도동항(1.0km)-(숙박)

망향봉케이불카/독도전망대(7,000)

 

울릉군 울릉읍 도동항(도동1)에서 숙박

미영이네민박(054-791-3447) :

도동항 버스정류장부근에 있고 주방시설이 되어 있으며 주방시설 이용하고 5170,000

울릉펜션(054-791-7577)

도동항부근에 있고 주방시설이 되어 있으며 주방시설 이용하고 주말이라 5180,000

화끈한 여주인 주중은 50,000원도 가능

비치하우스펜션(054-791-0500) :

도동항부근에 있고 주방시설이 되어 있으며 주방시설 이용하고 5170,000

샤워시설은 방안에 있고 주방은 방밖에 있다.

 

 

5일차(3/04 일요일)

자유여행

죽도여행(2시간)-15,000

도동항-죽도 유람선(054-791-4488) 도동항에서 09:00. 14:50 요금(15,000)

울릉둘레길(남양항-태하항까지 7.0km/2시간30)

도동항-(순환버스)-남양항-남서천/울릉서중학교-남서리고분군-사다리골-태하령-골개골-태하항-(순환버스)-도동항

성인봉등산(5시간)

독도(4시간)-45,000

 

15:30 도동항에서 쾌속선 씨풀라워호 출발

18:30 묵호항 도착

18:50 묵호항에서 서울행 셔틀버스 출발

21:30 잠실역 도착(잠실역-시청역-영등포역 순으로 운행)

...................................................................................................................................................

 

 

울릉도둘레길 80km

울릉도둘레길은 울릉도의 산과 바다, 밀림을 모두 만나볼 수 있는 트래킹코스다.

아직 완공되지 않은 일주 순환도로와 달리 걸어서라면 섬 한 바퀴를 모두 돌아볼 수 있다.

2004년 울릉도 산악회와 KTC(Korea Trail Club)회원들이 내수전에서 송곳산까지 19.2km 구간을 이으며 시작한 둘레길이 울릉도를 일주하는 80km를 모두 이었다.

트래킹구간의 높낮이는 해발 50~300m를 넘나들며 보통 34일 코스로 일정을 짤 수 있다.

 

1일은 도동~저동~내수전~보루산~석포전망대~선창~관음도~죽암~천부~추산까지

2일은 추산~송곳봉~광암~평리~노인봉~현포~현포령~항목령~태하등대~현포전망대~태하까지

3일은 태하~학포~산막~구암~남서고분~비파산~지통골~남양일몰전망대~남양까지

4일은 남양~통구미~가두봉~가두봉등대~중령~울릉신항~사동~도동까지 잡으면 된다.

 

1일은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생겨난 울창한 숲과 들을 지나가는 원시림 탐방코스이고,

2일은 울릉도 해안의 경치와 바다를 조망 할 수 있는 코스다.

3일은 울릉도의 역사와 관련이 있는 옛길을 지나고,

4일은 시골마을을 지나가며 울릉도의 속살을 느끼고 울릉도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다.

...................................................................................................................................................

 

 

주요트래킹코스

울릉둘레길 행남해안산책로코스 2.6km

도동부두 좌해안을 따라 개설된 코스로 자연동굴과 골짜기를 연결하는 교량사이로 펼쳐지는 해안비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가을철 노란 털머위 꽃이 군락을 이루며 오가는 손님을 맞이한다.

도동부두에서 행남까지 걸어서 1시간 30분 정도

 

울릉둘레길 내수전코스 내수전-석포일출밀몰전망대까지 7.0km

울릉도 일주도로인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 중 유일하게 미개설구간 4.4km를 돌아가는 둘레길이다.

저동 내수전 약수터 뒤로 개설된 군도 1호선을 따라 북면 석포마을까지 이어진다.

중간에는 작은 계곡과 때로는 넓은 바다와 죽도와 관음도를 볼 수 있으며 산세가 수려하고 자연경관이 뛰어난 코스이다.

내수전 일출전망대와 석포마을 중간쯤에 정명학(정매화)계곡 쉼터가 있어 쉬어 가기엔 제격이다.

석포마을 앞에서 관음도와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의 해안절경을 감상할 수 있고 가을에는 억새가 아름다운 곳이다.

섬목-관음도를 잇는 연육교가 20125-6월쯤 완공되면 관음도의 한국10대 비경을 구경할 수 있을 것이다.

저동 내수전 고개에서 내수전 일출전망대까지 걸어서 20분 정도

내수전 일출전망대에서 석포마을 까지 걸어서 1시간 30분 정도

 

울릉둘레길 태하령길 남양-태하리까지 7.0km

옛날부터 울릉도 주민이 이용해온 길들을 체계적으로 정비해 제주도의 올레길처럼 만든 순환형 트레킹코스다.

남양-태하 둘레길은 총 3개 구간으로 나뉜 울릉둘레길의 제2구간에 속한다.

울릉도 역사와 자연생태를 두루 엿볼 수 있는 하이라이트 구간이다.

 

전체 길이가 남양-태하등대까지 약 12km인 이 길을 걸으면 서면 면 소재지인 남양리를 비롯해 남서리 고분군, 나팔등마을 입구, 태하령 옛길, 태하리 성하신당과 황토굴, 태하등대 등을 두루 거치게 된다.

 

일주도로변의 남양 버스정거장에서 남서천 물길과 나란히 이어지는 길을 거슬러 2.7km쯤 오르면 나팔의 등처럼 가파르다는 나팔등마을 입구에 도착한다.

그 길 중간쯤의 산비탈에는 신라시대의 돌무덤인 남서리 고분군이 있다.

최소한 삼국시대 이전부터 울릉도에 사람들이 살았음을 보여주는 유적이다.

 

나팔등마을 입구에서 태하령 옛길까지 약 800m 구간은 제법 비탈진 오르막길이다.

하지만 길바닥에 푹신한 흙과 낙엽이 깔려 있는 데다 숲이 울창해 가뿐히 걸을 수 있다.

태하령 옛길 구간은 성인봉 원시림지대 못지않은 천연림을 가로지른다.

태하동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제50)이 그것이다.

솔송나무와 섬잣나무 고목들이 하늘을 찌를 듯한 기세로 쭉쭉 뻗어 있어 짙은 솔향기가 온몸을 휘감는다.

태하령 정상에서 태하리까지는 줄곧 완만한 내리막길이 이어진다.

큰황토구미라고도 불리는 태하리는 울릉도 개척령이 내려지고 그 이듬해인 18837월 개척민들이 첫발을 내딛었던 곳이다.

 

울릉둘레길 남양-태하리-태하등대까지 12.0km

남양항-태하리까지 7.0km를 이어서 태하항에서 태하등대까지 울릉둘레길 남양-태하등대까지 전체 길이는 12.0km.

태하리 북쪽의 대풍감 절벽에 태하등대가 있는데 태하항에서 태하등대 초입까지 관광모노레일이 설치된 이후로는 태하등대와 대풍감 절벽의 절경을 수월하게 감상할 수 있다.

최근 확장공사가 끝난 태하등대 자체보다 더 인상적인 것은 등대 옆의 향목전망대에서 바라보는 바다 조망이다.

쉼 없이 불어오는 바람보다 더 상쾌한 조망을 누릴 수 있다.

까마득한 절벽 아래에 일렁이는 바다는 때 묻지 않은 비취빛이고 에메랄드빛이다.

 

울릉둘레길 대풍감코스 태하향목 관광모노레일 타고 가는 태하항-태하등대까지 1.3km

한국10대 비경지역

쪽빛 투명한 바다와 울창한 소나무 숲이 어우러져 산과 바다의 자연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코스다.

바닷바람이 은은하게 솔향기를 실어 나르고 솔잎이 수북하게 쌓인 산길을 따라 정상으로 향하다 보면 외롭게 우뚝 서 있는 울릉도(태하)등대가 반가운 손님을 맞이한다.

울릉도(태하)등대가 있는 대풍감 정상에서는 월간 ''지가 선정한 우리나라 10대 절경 중 하나로 꼽히는 울릉도 북면의 해안절경을 볼 수 있다

태하항의 황토굴 근처에 있는 오르막길에서 시작하여 걸어서 30분 정도

 

그런데 이곳 한국사진작가협회에서 선정한 한국 10대 비경지역에 태하향목관광모노레일이 설치됐으며 2대의 연결식 모노레일카가 한번에 40명의 승객을 경사 39도의 해안절벽 위로 운송한다.

이제는 모노레일을 타고 울릉도의 해안절경과 향나무 숲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울릉군은 서면 속칭[황토구미 마을]~[태하등대] 진입로(304)20인승 관광용 모노레일을 타고 태하등대에 도착하면 1가량 떨어진 돌산인 대풍령(해발 300)에 자생하는 천연기념물 49호 대풍감 향나무 숲과 인근 후박나무 숲, 한국의 10대 비경으로 꼽히는 서북면의 해안 절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특히 울릉도 해상관광의 백미인 코끼리 바위를 비롯해 노인바위, 삼선암, 송곳산, 항로표지관리소 등의 명소를 즐길 수 있다.

모노레일은 등판각도가 최대 39도에 이르고 탑승시간은 약 6분 정도 된다.

현재 이 구간에는 산길과 등산길이 있으나 직벽에 가까울 정도로 가파르고 구불구불해 일반인들이 태하 등대까지 오르기는 쉽지 않아 주민들은 찾지만 관광객은 거의 찾지 않고 있는 곳이다.

 

그러나 모노레일을 타면 태하등대까지 올라갈 수 있고 도착지점에서 바다쪽으로 돌출된 돌산인 대풍령에 자생하는 향나무 숲과 우측에 현포리의 해안절경, 좌측으로는 서면 학포리 등의 해안선 절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태하전망대에서 대풍감 방향으로 내려가면 고개가 나오는데 여기서 왼쪽 길을 선택해 절벽을 에스(S)로 굽이돌면 대풍감 낚시터다.

대풍감은 옛날 울릉도를 드나들던 배가 바람을 이용하는 돗배였기 때문에 항해를 위해서는 바람이 불어야 했는데 그 바람을 기다리며 배를 매어두었던 곳이다.

 

대풍감 낚시터에서 계단을 타고 넘으면 황토구미에 이른다.

울릉도 등대를 반환점으로 산길을 따라 올라갔다 바닷가로 내려오는 태하동 트래킹의 종점이다.

태하동 몽돌해변 끝자락에는 바위로 된 절벽 아래 있는 움푹 패인 황토굴이 있는데 울릉도에서 황토가 나는 곳은 이 곳 뿐이다.

많은 양의 황토가 있는 곳으로 황토구미라는 지명도 이곳에서 유래되었다.

모노레일을 타고 올라가 울릉도 등대를 거쳐 황토구미로 내려오는 트래킹에는 1시간30분 정도 걸린다.

 

울릉둘레길 관음도구간 섬목에서 연육교를 건너 관음도까지

한국10대 비경지역

2011829일 관음도의 뛰어난 자연경관을 중심으로 인근 섬목, 삼선암 등과 연계한 관광지 조성을 위해 울릉도 섬목~관음도간 길이 140m, 3m의 연도교 교량상판이 연결되었다.

20125-6월에 공사가 완료되면 관음도가 울릉도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를 전망이다.

 

관음도는 울릉도세계지질공원 등재를 위해 용역을 진행했을 때도 울릉지역 5개 명소 중 하나로 선정 됐을 만큼 생태학적 다양성과 화산 후기 때 만들어진 지질형성이 잘 보존 된 지역이다.

상공에서 보면 한반도 모양으로 이뤄져 있으며 전설과 민담 등이 전해지는 관음쌍굴, 선녀탕 등 수려한 수중 경관과 독특한 식생 등을 보유하고 있어 새로운 관광명소가 될 전망이다.

 

울릉둘레길 나리분지 신령수길 천부-나리분지-신령수약수터까지 6.0km

울릉군 북면 천부리의 험한 산 고개를 넘어가면 거짓말처럼 펼쳐지는 너른 평지인 바로 우리나라의 대표적 화구분지인 나리분지다. 나리분지는 나리꽃이 많다고 하여 나리분지란다.

 

이 분지는 화산이 폭발한 후 분화구가 아래로 꺼져 내리면서 생긴 지형이다.

용암이 분출하고 남은 땅속 공간이 있는데 윗 지층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중력의 작용에 의해 내려 앉아 대접 안 모양처럼 움푹 패인모습이다.

나리분지 북단에는 알봉(538m)이 있는데 울릉도는 화산이 두 번 분출하여 형성된 2중 분출 화산섬으로 나리분지가 첫 번째 분화구이고 알봉 분지가 두 번째 분출한 분화구이다.

 

나리분지는 주변 산들인 성인봉(986m), 천두봉(978m), 말잔등(967m), 미륵봉(900m), 나리령(798m), 송곳산(605m)등에 둘러싸여 마치 가운데 알처럼 알봉이 자리 잡고 있는 특이한 칼데라분지다.

화산이 폭발한 후 함몰된 평평한 땅을 부르는 명칭이 칼데라인데 일반적으로 지름 3Km 이상을 칼데라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