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광릉숲축제 광릉숲걷기 6.2km, 제2부 평화원입구-봉선사주차장까지 1.8km
2015. 09/05 토요일
광릉숲축제의 광릉숲걷기 6.2km는 봉선사 연꽃연못-광릉숲길-평화원입구까지 밀림 같은 임도 4.4km와 평화원입구-봉선사까지 도로와 나란히 걷는 숲길 1.8km등 총 6.2km다.
광릉숲길은 용암산자락의 임도로 부평2리마을회관 고향집털랭이매운탕집-평화원입구까지 4.4km에 이르는데, 숲 보호를 위해 평소에는 굳게 잠겨 있다가 1년에 단 한번 광릉숲축제 때에만 문이 열린다.
걷기코스: 봉선사/연꽃연못-광릉숲길-평화원입구(4.4km)-광릉수목원로/도로-봉선사(1.8km)
소요시간: 숲길(4.4km), 도로(1.8km) 등 6.2km
평화원입구에서 봉선사로 가는 길
능내교
봉선사입구
도로와 나란히 가는 용암산 숲길을 걷다가 마지막구간에서 목책울타리 비상문을 통해 도로 갓길로 나와 아직도 주룩주룩 내리는 비를 맞으며 도로 갓길을 조금 걸으면 봉선사입구에 도착한다.
점심식사
일단 트래킹을 마치고, 김회장부부가 아침에 올 때 봐뒀다는 매운탕집에서 털랭이매운탕으로 점심식사를 하기로 한다. 그래서 봉선사입구 음식거리에 있는 털랭이매운탕전문 고향집(031-527-7773)으로 들어가 털랭이매운탕과 소주 등으로 점심식사를 한다.
털랭이매운탕(대), 소주(4병) 등 4명이 꽤 많이 나왔을 텐데 김회장이 계산했다. 너무 맛있는 매운탕, 잘 먹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봉선사일주문
식사 후 봉선사를 탐방하기로 하고, 행사장을 지나 봉선사(奉先寺)로 올라간다.
봉선사 연꽃단지
봉선사 연꽃유치원
봉선사저수지
봉선사(奉先寺)
봉선사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전읍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로 고려 광종20년인 969년에 승려 탄문이 운악산 자락에 절을 창건하고 운악사라고 부른 것이 봉선사의 전신이라고 전해진다.
봉선사로 이름을 바꾼 것은 조선 예종 때인 1469년이다.
왕의 어머니인 정희대비가 죽은 남편 세조의 능을 운악산으로 이장하여 광릉이라하고, 이 절을 세조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아 '선왕을 받든다'는 뜻으로 봉선사라는 이름을 붙였다.
예종은 친필 현판을 하사하기도 한 봉선사는 1551년에는 교종의 으뜸 사찰로 지정되는 등 사세가 번창했는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소실되어 1637년에 복구했으나, 한국전쟁으로 또다시 전소되어 현대에 다시 복원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역임한 태허(운암 김성숙)스님, 운허스님이 머물렀고, 운허의 친척 형이 되는 이광수도 은거한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이광수기념비가 절 입구에 세워져 있다.
광릉숲축제장
경희대학교광릉캠퍼스
봉선사를 둘러보고나와 이제는 봉선사입구에 있는 경희대학교광릉캠퍼스도 잠시 둘러보고 나온다.
봉선사입구버스정류장
봉선사입구버스정류장에서 의정부행 21번 버스를 타고 돌아오면서 오늘 트래킹을 마무리한다. 이 길을 걸으면서 만난 어떤 사람은 올해로 세 번째 이 길을 걷는다던데, 필자도 내년 축제 때 다시 한 번 더 오고 싶어진다.
'201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암동생태문화탐방길 제1부 자하문고개-석파정까지 2015. 09/08 (0) | 2015.09.11 |
---|---|
서울시종로구 부암동생태문화탐방길 길잡이 2015. 09/08 (0) | 2015.09.11 |
광릉숲축제 광릉숲걷기 제1부 봉선사주차장-평화원입구까지 2015. 09/05 (0) | 2015.09.07 |
남양주 광릉숲축제 광릉숲걷기 길잡이 2015. 09/05 (0) | 2015.09.07 |
순천 낙안읍성둘레길 2015. 08/27 (0) | 2015.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