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문화유적과 송현동고분군탐방 4.3km
2016. 06/25.26 1박2일
창녕에 있는 우포늪은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524호), 국제람사르협약 보존습지, 생태계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생태계의 보고(寶庫)다. 이곳에 우포늪생명길 8.4km가 조성되어있다. 서울에서 거리가 멀어 교통편의상 당일여행 보다는 1박2일 예정으로 첫날은 창녕교동고분군과 송현동고분군 등을 탐방하고, 둘째날은 우포늪생명길을 걷기로 한다.
여행일정:
제1일 서울-창녕, 창녕교동고분군과 문화공원탐방 5.2km/3:05분
창녕문화유적과 송현동고분군탐방 4.9km/1:20분, 숙소: 비사벌사우나찜질방(055-532-0606): 찜질방(9,000원)
제2일 창녕우포늪생명길 8.4km/3:30분, 창녕-서울
창녕인양사조성비(昌寧仁陽寺造成碑)
창녕인양사조성비는 창녕군에 있는 남북국시대 신라의 비석으로 1963년 1월21일 보물 제227호로 지정되었다. 창녕인양사조성비는 인양사를 비롯하여 이와 관련이 있는 여러 절의 범종, 탑, 금당 등의 조성연대와 쓰인 식량 등을 낱낱이 기록하고 있는 비석으로 통일신라 혜공왕 7년(771) 인양사 종을 만든 일로부터 이 비석을 세운 신라 헌덕왕 2년(810)까지 40년간 이루어진 일의 내용이 담겨 있다. 비석은 직사각형의 바닥 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커다란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고, 비 뒷면에는 스님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사찰 조성에 관련된 당시의 승려를 기리기 위해 새겨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창녕술정리하씨초가
창녕술정리하씨초가는 조선시대의 가옥으로 하병수의 17대 조상인 백연(白淵)이 건립하였다고 전하는데, 상도리(上道里)에 건륭(乾隆) 25년이라 적힌 묵서(墨書)가 있어 1760년(영조 36)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의 가옥구조와 민가의 건축술을 알 수 있는 남향의 초가로 하씨(河氏)가 수대로 살아온 터다.
술정리동3층석탑(述亭里西三層石塔)
국보34호 술정리동3층석탑(述亭里西三層石塔)은 이중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형성한 신라 석탑의 일반형으로 그 큰 규모와 조각수법 등이 불국사석가탑과 비교될 만한 통일신라성대(8세기 중엽)의 우수한 석탑이다. 이 탑에 ‘동’(東)자를 붙인 것은 한 사역 안에 탑이 쌍으로 건립되어 있어서가 아니라 술정리에 2개의 탑이 유존하기 때문에 구분하기 위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서삼층석탑은 여기서 2㎞쯤 떨어진 곳에 있다. 1965년 주위에 있던 민가들을 철거하여 정화보존 조치를 취하였고 탑도 함께 해체 수리하였다. 이때 3층 탑신 윗면에는 네모진 사리공이 있어서 뚜껑 모양의 청동잔형용기와 황색의 유리병, 유리구슬, 향나무편 등이 발견되었다. 상륜부는 모두 없어졌으나 탑이 크고, 짜임새가 장중하며 훤칠해 기품 있게 보인다. 현재 탑의 높이는 5.75m다.
만옥정공원
만옥정공원이 있는 이곳 교상동은 예전에 창녕의 관가[官家]가 밀집되어 있던 마을이다. 옛 현청과 현청에 딸린 질청[別廳=吉廳]등 여러 건물이 있었으나 한일합방이후 보존되어야함에도 그러지를 못하고 객사는 뜯겨져 여러 곳으로 사라진 것처럼 동헌도 군청이 들어서자 변모되어 그 옛 모습이 사라져버렸다.
만옥정공원 주변은 대밭이 들어선 산등성이로 이 대밭에서 대원군이 전국적으로 세우게 했던 척화비가 발견되었다. 만옥정공원에는 국보33호인 진흥왕순수비를 비롯하여 퇴천리삼층석탑, 객사복원건물, 고인돌, 대원군척화비, 6.25동란UN전승기념비 등이 있다.
신라진흥왕 척경비
화왕산영화드라마촬영장
화왕산영화드라마 촬영장을 둘러보니 어느 것이, 어느 곳이 촬영장이었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커다랗게 안내판만이 외롭게 서 있을 뿐이다.
화왕산창화사
화왕산창화사는 화왕산(火旺山/756m)군립공원 자하곡 입구에서 등산로 쪽으로 약450m 떨어져 있는데, 대한불교 천태종사찰로 2002년 10월에 낙성식(落成式)을 한 2층 주심포(柱心包)식 불전이다.
미륵암 창녕송현동석불좌상
화왕산창화사에서 오른쪽으로 빠져 100여m지점에 있는 미륵암 창녕송현동석불좌상은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에 있는 석불로 바로 곁에는 송현동 고분군이 있다. 이 석불은 통일신라시대에 만든 것으로 높이는 1.37m다. 바위를 광배로 이용한 일종의 마애불(磨崖佛)이라 할 수 있다.
창녕송현동고분군(昌寧松峴洞古墳群)
창녕송현동고분군(昌寧松峴洞古墳群)은 북서쪽으로 인접한 교동고분군과 함께 목마산(牧馬山) 남쪽기슭에 직경20m이상의 대형고분을 비롯해서 중·소형고분 30여 기가 분포되어있다.
창녕교동과 송현동고분군은 창녕읍 교리 및 송현리 일대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대형 고분군으로, 1911년 일본인 학자 세키노타타시에 의해 처음 알려졌다. 150여기 정도가 확인되는데, 출토유물과 구조양상을 볼 때 5~6세기 전반이 중심연대가 되는 고분군으로 파악되고 있다.
창녕석빙고(昌寧石氷庫)
석빙고란 추운겨울에 얼음을 채취하여 더운 여름까지 보관하여 사용하였던 선조들의 지혜가 돋보이는 얼음 창고이다. 창녕석빙고(昌寧石氷庫)는 조선시대에 중수하였다고 보는 빙고(氷庫)로 이 빙고는 봉토도 거의 완전하며 외부의 모양은 마치 거대한 고분처럼 보이고 뒤에 흐르는 개천에 직각되게 남북으로 길게 구축되어 있다.
자녁식사
석빙고입구 창녕공설시장에 있는 왕순한우식육식당(055-532-1711)집에서 수구레국밥, 소주, 맥주 등으로 저녁식사를 한다.
창녕우포늪생명길 9.4km 제1부 우포늪주차장-숲탐방1길쉼터까지
'2016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녕 우포늪생명길 제2부 숲탐방1길쉼터-목포제방까지 2016. 06/26 (0) | 2016.07.11 |
---|---|
창녕 우포늪생명길 제1부 우포늪주차장-숲탐방1길쉼터까지 2016. 06/26 (0) | 2016.07.11 |
창녕 교동고분군과 문화공원탐방 2016. 06/25 (0) | 2016.07.08 |
창녕 문화유적과 우포늪생명길 길잡이 2016. 06/25.26 1박2일 (0) | 2016.07.06 |
경춘선숲길공원 제2부 화랑대사거리-퇴계원역까지 2016. 06/21 (0) | 2016.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