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서울송파구 한성백제유적답사, 제1부 천호역-몽촌역사관까지 2017. 03/09

산솔47 2017. 3. 16. 20:44

서울송파구 잃어버린 500, 한성백제유적을 찾아서 19.6km, 제1부 천호역-몽촌역사관까지

2017. 03/09 목요일

 

    

이번 여행은 잃어버린 500, 한성백제의 유적을 찾아가는 여행이다. 백제의 역사라고 하면 공주와 부여를 먼저 떠올리지만 그 두 곳은 모두 합쳐봐야 200년이 안 되는 기간의 백제수도였다

그런 반면 한성(서울)은 기원전18년부터 서기475년까지 무려500년 가까이 백제의 수도로써 그 가능을 한 곳이다.

하지만 2015 백제유적 8곳이 우리나라에서 열두 번째로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도 한성의 유적은 한 곳도 포함이 되지 않았다. 우리가 잊고 있던 그 한성백제500년의 시간이 서울에 지금도 남아 있다.

오늘은 그 잃어버린 500, 한성백제유적을 찾아나선다.

 

Course

천호역(10)-한가람로20-풍납토성시점.천호대교남단(0.5km)-한가람로20-바람드리길-풍성로25나길-풍납초등학교-풍납토성경당지구(1.2km)-풍납백제문화공원-풍성로-올림픽로51(1.5km)-토성로-풍납종합사회복지관-풍납토성종점주차장(1.3km)-서울아산병원주차장-성내천산책로(1.2km)-올림픽대교남단교차로-송파구여성축구장-몽촌토성.1(1.6km)-몽촌역사관-88호수.팔각정(오륜정)-서울역사편찬원-백제집자리전시관-올림픽공원안내도(1.9km)-충헌공김구묘역-몽촌호-한성백제박물관(2.2km)-방이초교삼거리-백제고분교차로-방이동백제고분군(1.5km)-방이동고분군사거리-송파사거리(1.9km)-우리은행갈림길-석촌동백제고분군(0.8km)-석촌호수(1.2km)-석촌호수둘레길-잠실역(2.8km)

소요시간: 19.6km/6:30, 평균속도(3.0km/시속)



 한성백제유적답사지도





들머리

전철5호선 천호역10번 출구에서 0.5km쯤 직진하면 올림픽대로.천호대교남단에 도착하고, 그곳에서부터 풍납토성은 시작된다.






풍납토성(風納土城)

풍납토성(風納土城)은 원래 경기도 광주에 속했으나, 서울시에 편입되면서 풍납토성(風納土城)으로 불린다. 풍납토성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토성유적으로, 조선시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는 "고산성(古山城)" 이라고 나와 있다. 이를 보아 중세인들도 백제의 오래된 성곽이라 추측한 것으로 추정 된다.

풍납토성이 학계에 처음 발견된 것은 1925대홍수 때이며, 1997 아파트공사를 계기로 다량의 백제 유적유물이 발견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 유적이 한성백제시대(온조왕~개로왕)의 이른바 하남위례성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풍납토성은 남북으로 긴 타원형태로 쌓은 토성인데, 토성을 따라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필자는 시점인 천호대교남단에서 풍납토성 종점주차장까지 2.5km를 걷는다.












풍납토성시점

전철5호선 천호역10번 출구에서 0.5km쯤 직진하면 올림픽대로.천호대교남단에 도착하고, 그곳에서부터 풍납토성은 시작된다.













풍납전통시장

토성중간에 바람드리길에서 풍성로25나길까지 250m는 풍납전통시장을 지나는 구간이고, 풍성로25나길에서 오른쪽으로 꺽어져 0.3km지점에 풍납토성경당지구와 풍납토성경당지구에서 100m지점에 풍납백제문화공원이 있다.








풍납토성경당지구

풍납토성경당지구는 한성백제(기원전 18기원후 475)시대 왕성의 제사 터로 추정되는 건물유구(遺構·건축물의 구조를 보여 주는 흔적)가 발견된 곳으로, 백제왕실의 제사 터로 보이는 ()’ 자 모양의 건물(길이 16m, 너비 14m), 제사 때 썼던 것으로 추정되는 말뼈, ‘대부(大夫)’란 한자가 적힌 토기, 중국 동진에서 제작된 대형 도자기가 발굴돼 초기 백제의 종묘로 추정된 곳이다.

학계는 이런 성과를 토대로 풍납토성이 초기 백제의 도읍지가 유력하다고 해석해 왔다. 연못의 경우 백제 별궁의 연못이었던 충남 부여군 궁남지와 비슷한 성격의 왕궁 연못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풍납백제문화공원

풍납백제문화공원은 백제 한성기(기원전 18~기원후 475) 문화유산을 간직한 곳으로 백제 한성기의 건물터와 다량의 기와, 도로 등 수많은 유물과 유구가 발견된 곳이다.

풍납백제문화공원에는 약 1700년 전 백제 한성기의 백제시대 도로유구’ ‘백제시대 건물지 유구’, ‘풍납토성 내 성벽등이 복제 전시되고 있다.

























풍납백제문화공원에서 풍납토성으로 되돌아 가는 길






풍납토성경당지구와 풍납백제문화공원을 둘라보고 되돌아온 풍납토성































풍납토성종점.주차장

주차장에서 왼쪽에 있는 풍납베드민턴클럽 앞에서 다시 왼쪽으로 꺽어져 도로를 따라 서울아산병원을 지나 아산병원주차장에서 성내천으로 접어든다.













아산병원






성내천산책로

성내천산책로를 걷고, 1.2km지점 올림픽대교남단교차로에서 굴다리를 지나 송파구여성축구장을 끼도 성내천산책로를 계속 따라간다.

올림픽대교남단교차로에서 1.6km지점에서 몽촌역사관으로 가는 이정표를 만나면, 몽촌토성.1문에서 오른쪽으로 다리를 건너 몽촌역사관으로 들어가 몽촌역사관을 둘러보고 나온다.


















몽촌토성.1










몽촌역사관

몽촌역사관 올림픽공원 북1문에서 몽촌토성 쪽으로 조금 걸어 올라간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데, 백제문화의 대표적인 유물과 유적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몽촌토성은 한성시대 백제의 주요 거성 중 하나로 지난 83년부터 89년까지 6차례의 정밀조사를 거쳐 움집터와 저장구덩이,토기 등 어마어마한 유물들이 발굴되었다. 이때 모습을 드러낸 조상들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 곳이 바로 몽촌역사관이다. 몽촌역사관 http://baekjemuseum.seoul.go.kr/dreamvillage/
















잃어버린 500, 한성백제유적을 찾아서 19.6km, 제2부 몽촌역사관-방이시장까지

http://blog.daum.net/sansol/3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