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북한산 원효봉 2014-09-14

산솔47 2014. 9. 26. 12:02

북한산 원효봉-북한천계곡길 6.1km

2014. 09/14 일요일

 

 

무더운 여름도 지나고 등산하기 좋은 가을을 맞아 모처럼 원효봉(505m)을 오르면서 땀을 흘리고, 아름답게 재탄생한 북한천계곡길을 걷는다.

 

트래킹코스 :

북한산입구버스정류장-효자동마을회관정류장-효자구판장(0.4km)-효자농원사거리/북한산둘레길(0.3km)-북한산성/서암문/시구문-원효암-원효대-원효봉(1.8km)-북한산성/북문-개연폭포-보리사-새마을교/갈림길(1.5km)-북한천계곡길-둘레교/북한산둘레길-북한산매표소(1.5km)-북한산성상가-북한산성입구버스정류장(0.6km)

소요시간 : 6.1km/3:35, 점심식사(1시간), 뒷풀이(1:50)

평균속도 : 1.7km/시속

 

 

들머리

구파발역 1,2번 출구 중간버스정류장에서 34, 704번 버스타고 효자동마을회관.효자파출소에서 내려 20m 지점 효자구판장 오른쪽길 진입하고, 효자구판장에서 100m 지점 사거리갈림길에서 왼쪽으로 진행한다. 다시 200m 지점 효자원사거리갈림길에서는 직진한다.

 

 

 

 

 

 

 

 

 

 

 

 

 

 

북한산성 서암문/시구문

 

 

 

 

 

 

 

 

 

 

 

 

 

 

 

 

 

원효암(元曉庵)

원효암은 고려때 원효대사가 수도하기 위해 세운 암자로 조선 숙종39(1713) 북한산성 축성 후 산성의 수비를 위해 승대장(僧大將) 성능에 의해 12규모의 암자로 중창보수 되었는데, 6.25 전쟁 때 부분 소실된 것을 1955乙 未 年에 복원된 사찰이다.

 

 

 

 

원효대

 

 

 

 

효봉

 

 

 

 

북한산성 북문(北門)

북문은 위에 문루(門樓), 즉 대궐이나 성 따위의 문 위에 사방을 볼 수 있도록 다락처럼 지은 집이 있었다는데 지금은 없어지고 성문 기둥만 남아있다는 것이다.

북문(北門)은 원효봉과 영취봉 사이의 해발 430m 지점에 있으며, 산의 능선이 말안장 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를 보이는 안부(鞍部)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

북한산성에는 대서문, 대남문, 대동문, 대성문, 중성문, 북문 등 6개의 대문이 있는데, 북문만이 ()’자를 붙이지 않은 것은 대문으로서 북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았기 때문이란다.

 

 

 

북한천계곡

 

 

 

개연폭포

 

 

 

보리사

 

 

 

 

북한동역사관

북한동역사관은 과거에 음식점이었던 만석장건물로 생활쓰레기, .폐수 방류 등으로 북한산의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곳이었는데, 2010년경 북한산성이주사업을 통하여 음식점은 시설지구로 이전되고, 현재는 기존건물을 개.보수하여 북한동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북한동역사관으로 재탄생한 곳이다.

 

 

 

북한천계곡의 칠유암(七遊巖)

칠유암(七遊巖)은 일곱 신선이 놀았던 자리라는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해 내려오는 곳이라는데, 고려 충렬왕때 대 학자였던 민지선생이 이곳을 매우 사랑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이 위쪽에 있었던 서암사 터는 민지사로도 불렸고, 그 터에 민지선생님에 관한 소개글이 적혀 있으며, 민지선생의 문집 중에는 칠유암기라는 글도 남아 있단다.

 

 

 

 

북한산성탐방안내소

 

 

 

북한산성상가밀집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