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서울 청계천걷기(왼쪽산책로)10.4km, 제1부 청계광장-성북천까지 4.7km 2018. 05.30

산솔47 2018. 6. 6. 09:03

서울 청계천걷기(왼쪽산책로) 광화문-응봉역까지 10.4km, 제1부 청계광장-성북천까지 4.7km

2018. 05.30 수요일


청계천은 청계광장-응봉역까지 10.2km인데, 오늘은 교통편의상 광화문버스정류장에서 시작해 청계광장-청계천산책로-응봉역까지 10.4km를 걷습니다. 청계천산책로는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으로 청계천을 가운데 두고 왼쪽과 오른쪽으로 두 개의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는데, 양쪽의 길이 서로 느낌이 다릅니다. 오늘은 왼쪽산책로를 걷고, 다음에는 오른쪽산책로를 걸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청계천에 조명이 비치면 너무나 아름답다기에 야간트래킹도 시도할 예정입니다.

course

광화문버스정류장-청계광장(0.2km)-모전교-광통교-광교-청계3경정조반차도-장통교-삼일교-수표교-관수교-세운교-배오개다리-새벽다리-마전교-나래교-전태일다리(버들다리)-오간수교-맑은내다리-다산교-영도교-황학교-비우당교-성북천-존치교각-무학교-두물다리-청계천판잣집체험관-정릉천-고산자교-신답철교-2마장교-하동매실거리-용담역육교-용담나들목교-살곶이체육공원갈림길.인도교-살곶이체육공원-살곶이다리-성동교-응봉교-응봉역(10.2km).  소요시간: 10.4km/3:10, 평균속도(3.32km/시속)


청계광장






청계천의 원래거리는 청계광장-중랑천까지 10.4km이고, 24개의 다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필자는 교통편의상 광화문버스정류장에서 시작해 청계광장-청계천산책로-응봉역까지 11.1km를 걷고자 합니다.

청계천산책로는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으로 선정된 길로 청계천을 가운데 두고 왼쪽과 오른쪽 양쪽으로 두 개의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는데, 양쪽의 길이 서로 다른 느낌을 줍니다. 왼쪽길이 신작로처럼 넓은 산책로라면, 오른쪽 길은 아주 좁은 오솔길입니다.



청계광장2번출입구

오늘은 왼쪽산책로를 걷고, 다음에는 오른쪽오솔길을 다시 한 번 더 걸을 예정이다. 그리고 청계천에 조명이 비추면 너무나 아름답다기에 야간트래킹도 한 번 시도할 예정이다.

청계광장에서 오른쪽에 있는 2번 출입구로 내려갑니다. 청계천으로 내려가면 청계천의 발원지처럼 시원스럽게 쏟아지는 폭포를 만납니다.





청계광장에서 청계천으로 내려가는 길은 왼쪽에도 있습니다, 원래는 왼쪽 길로 내려가야 하는데, 무심코 내려가다 보니까 습관처럼 오른쪽 길로 내려가 버렸습니다. 모전교를 지나 광통교 전에 있는 징검다리를 건너 왼쪽산책길로 이동합니다.

다음에 청계천오른쪽오솔길을 걸을 때는 왼쪽 길로 내려가 모전교 앞에서 징검다리를 건너 오른쪽오솔길을 걷고자 합니다.






정릉의 석물로 보수한 청계천의 광통교(廣通橋)

광통교(廣通橋)는 대광교(大廣橋), 대광통교(大廣通橋), 북광통교(北廣通橋), 북창다리, 큰광교, 큰광통교 등으로 불렀답니다.

조선 3대 태종이 신덕왕후를 깎아내리기에 갈수록 심해지고 있을 때인 14108월 홍수가 나서 흙으로 만든 광통교가 무너지자 정릉의 석물로 돌다리를 만들도록 명합니다.

숭례문과 경복궁을 이어주는 광통교는 한양 최고의 번화가에 놓여 있는 다리라서 사람의 통행량이 많았고, 정월대보름 때는 남녀들이 모여 다리 밟기와 연 날리기 등의 축제를 벌였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많은 사람들이 정릉의 석물들을 계모인 신덕왕후 보 듯 하여 짓밟아 주기를 바란 태종의 심술은 아니었을까요?

원래 위치에서 150m쯤 청계천상류로 이동되어 복원된 광통교의 다리 벽면이 현재의 왕릉에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다면 더더욱 백미로 뽑힐 병풍석의 구름무늬, 당초무늬 등이 선명하게 자태를 드러냅니다. 문인의 옷 주름까지 섬세하게 묘사했습니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병풍석의 문양이 거꾸로 되어 있는 것이 있는데, 이는 이방원이 신덕왕후 강 씨에 대한 미움의 극대화 장치였을까요? 아니면 우연이었을까요? 특히 불교용구로 알려진 금강령, 금강저의 완벽한 묘사가 압권입니다.

왕릉에 있어야 할 석물들이 생뚱맞게 다리에 있지만, 석공의 혼이 실린 명작중의 명작으로 청계천에 가면 광통교는 꼭 들러봐야 할 곳입니다.

태조에게 충실한 내조자를 넘어 정치적 동지였던 신덕왕후를 태종 이방원이 그녀 사후에 그녀가 서럽도록 애석한 조치를 취한 건 역시 권력에 대한 알력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문제는 강 씨가 실질적인 개국공신인데다 여세를 몰아 자신의 아들인 방석을 왕세자로 책봉해 태조의 뒤를 잇도록 만들었다는 점입니다. 현비의 자식을 적통으로 보는 정도전, 남은 등이 그녀의 편이었고 무엇보다도 태조도 그녀의 뜻을 따라줬습니다.

그러나 신덕왕후는 세자책봉까지는 과업을 이뤄냈으나, 완벽한 왕위승계는 매듭짓지 못한 채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죽 쒀서 개준다고 그랬던가요? 그토록 조선건국을 위해 애를 썼고, 정몽주를 죽이는 무리수까지 두었던 이방원이었는데, 졸지에 계모의 아들인 방석에게 세자자리를 빼앗길 수 는 없었습니다.

이방원은 한 씨 소생의 동복형제들과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신덕왕후의 아들인 방번과 방석을 죽이고, 동복형인 방간이 자신을 치려고 하자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결국 왕위에 오릅니다.

그리고 곧바로 신덕왕후를 깎아내리는 작업에 착수합니다. 종묘에 신위를 모실 때 태조와 자신의 친어머니 신의왕후를 함께 모시고, 신덕왕후를 후궁의 지위로 격하해 신위를 모시지 않았고, 우리가 어진성군으로 알고 있는 세종 또한 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한술 더 떠서 신덕왕후의 영정까지 불살라 버리라 명합니다.[원본]문화유산여행길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청계천을 걷다보면 곳곳에 징검다리가 만들어져 있습니다. 필자는 모든 징검다리에서 청계광장방향과 중랑천방향의 물길을 사진으로 담으면서 진행합니다.













정조대왕능행반차도


조선왕조 제22대 임근인 정조대왕은 1795년 윤2월에 사도세자의 회갑을 기념하기 위해 모친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화성(수원)과 현릉원(사도세자 무덤)을 다녀와서 그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한 원행을묘정리의궤를 편찬했습니다.

이 책에는 왕의 행차가 창덕궁을 떠나 광통교를 건너 화성으로 가는 모습이 판각화로 그려져 있는데, 1,779명의 인원과 779필의 말이 따르고 있습니다.

김홍도 등 당대의 일류 화가들이 그린 이 반차도는 왕조의 위엄과 질서를 장엄하게 표현하면서도 낙천적이고 자유분방한 인물묘사가 돋보입니다.

왕실 기록화이자 한 폭의 커다란 풍속화를 연상시키는 이 반차도는 당시 행차의 격식과 복식, 의상, 악대구성 등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참으로 걷기 좋은 산책로입니다. 맑은 물이 흐르고 있어 지루하지가 않습니다. 장통교-삼일교-수표교-관수교-세운교-배오개다리-새벽다리-마전교-나래교를 지나 전태일다리(버들다리)에 도착합니다.





































물가에 심어져 있는 나무들은 푸르름이 절정에 달하고 나뭇잎이 우거져 시원합니다. 청계천에는 어른팔뚝보다도 더 큰 잉어들이 자유롭게 노닐고 있고, 청둥오리가 한가롭게 유영을 즐기고 있습니다.











전태일다리.버들다리

전태일은 19701113일 서울청계천 평화시장에서 소외된 계층인 노동자들의 근로조건개선을 요구하며 분신자살한 분입니다.

대한민국의 노동운동은 전태일 열사 등장이전과 이후로 구분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노동운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알려져 왔습니다.

당시 우리나라에는 그럴싸한 근로기준법이 있었으나 형식적이고, 감독관청도 전혀 이를 지키려 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전태일은 결국 죽음으로 그 뜻을 알리는 길을 택하게 된 것입니다. 이 다리의 원래이름은 버들다리인데, 그를 기리기 위해 전태일다리라고 명명합니다.





































오간수교-맑은내다리-다산교-영도교를 지나 황학교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다리위로 올라가 봅니다. 정오가 훨-씬 지나고 있어 점심식사 할 곳이 있는지 찾아보기 위해서입니다. 그런데 주변에 식당이 전혀 안 보이네요.

그렇게 배가 배고픈 것은 아니기에 그냥 걷기로 합니다. 사실 필자는 걸을 때 전혀 배고픔을 느끼지 않습니다. 걷는 것이 그렇게 좋아서인지 걷다보면 배고픔도 잊어버립니다.

























성북천갈림길

비우당교를 지나 성북천에 도착합니다. 왼쪽으로 성북천을 따라서도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습니다.

성북천교 아래에서 성북천의 징검다리를 건넙니다. 청계천 한 가운데에는 존치교각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청계천걷기(왼쪽산책로) 광화문-응봉역까지 10.4km, 제2부 성북천-응봉역까지 5.7km

http://blog.daum.net/sansol/4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