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중구 인천개항누리길 7.2km, 제2부 한미수교100주년기념탑-근대건축전시관까지
2017. 03/14 화요일
인천개항누리길은 100여년 전의 역사와 문화의 숨결을 간직한 관광도시 인천 중구의 개항장권역을 돌아보는 길이다. 인천의 '올레길‘로 불리는 '누리길(세상을 즐기는 길)'은 인천광역시 중구에서 2006년부터 운영해 온 도보관광코스로 근대역사건축물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인천의 대표적인 관광코스다.
Course
인천역(1번)-차이나타운입구(제1패루)-구)공화춘(짜장면박물관)-화교중산학교-청.일조계지경게계단-삼국지벽화거리-자금성.공화춘-의선당-문차이나-선린문(제2패루)(1.3km)-석정루-한미수교100주년기념탑-자유공원입구-인천기상대(1.0km)-자유공원.맥아더장군동상-인천학도의용대호국기념탑-홍예문-홍예문옛길-대한성공회인천내동교회(1.3km)-신포국제시장입구-신포패션문화거리-신포지하상가-애관극장-중구선거관리위원회-답동성당(0.9km)-애관극장-이근수산부인과-신한은행인천금융센터-인천개항장근대건축전시관(구.일본제18은행)-한국근대문학관(구.일본제58은행)-인천개항박물관(구.일본제1은행)-청화원-인천아트플랫폼-한중문화관.인천화교역사관(2.0km)-해안성당-자금성.공화춘-차이나타운입구(제1패루)-인천역(0.7km)
소요시간: 7.2km/4:05분, 평균속도(1.77km/시속)
인천자유공원 한미수교100주년기념탑
인천기상대
인천자유공원
인천자유공원 맥아더장군동상
인천학도의용대호국기념탑
홍예문
홍예문(虹霓門)은 인천시 중구 송학동에 있는 화강암으로 축조된 아치형터널로, 일본공병대가 1905년에 착공하여 1908년에 완공했다.
개항 당시 인천항과 인접한 중앙동과 관동 등지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이 전동과 만석동으로 거류지를 확대하기 위해 뚫은 석문이다.
당시 일본 조계지나 항구에서 만석동으로 이동할 때 내동과 용동마루턱을 거쳐 화평동을 우회하는 게 유일한 통로였는데, 통행이 불편하여 응봉산 남쪽 마루턱을 깎아 만든 것이 홍예문이다.
홍예문옛길
대한성공회내동교회
인천광역시 중구 내동에 있는 대한성공회내동성당(內洞聖堂) 또는 대한성공회내동교회는 1891년 9월30일에 지어진 한국최초의 성공회교회로 대성공회서울교구에 소속되어 있다.
내동교회는 1890년 9월29일 인천으로 들어온 코르프(Charles John Corfe) 주교에 의해 건축된 한국최초의 성공회성당으로 원 건물은 한국전쟁기에 훼손되었고, 현재건물은 원래 성 누가병원이 있던 장소인 인천광역시 중구 내동에 다시 세운 것으로 1956년 6월에 완공되었다.
1890년 9월29일에 영국해군군종사제이며 조선선교에 관심을 갖고 있던 코르페(한국명 고요한) 주교와 선교사 6명이 인천항에 처음 들어와 조선에서의 선교활동을 시작했다. 당시 성공회선교사인 랜디스는 성공회신자와 비신자의 구분 없이 인도주의로 활동을 벌였다.
랜디스는 한국이름이 ‘남득시’이고, 한국의 전통을 존중하여 온돌이 있는 병원에서 환자들을 돌보았고, 환자이송에 가마를 썼다고 한다.
1902년에는 한때 러시아영사관으로 사용되었고, 1904년부터 1956년까지는 성공회신학원으로도 운영되었다. 처음 지은 건물은 한국 전쟁 당시에 소실되었고, 현재건물은 1955년 8월28일에 주춧돌을 놓고 1956년 6월23일에 완공하여 복구한 것이다.
신포국제시장입구
신포패션문화거리
인천기독병원
답동성당(沓洞聖堂)
답동성당(沓洞聖堂)은 인천광역시 중구 답동에 위치한 천주교인천교구의 주교좌대성당으로, 주보성인은 성 바오로이다. 인천교구의 현 교구장은 3대 정신철(요한세례자)주교(2016년 11월10일 착좌)이고, 답동성당의 주임사제는 이민주 세례자요한 신부이며, 한 명의 보좌신부와 두 명의 수녀를 두고 있다.
성당은 벽돌조 고딕양식으로, 1890년대에 건축된 대한민국의 성당 중에서 성공회강화성당 등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서양식근대건축물 중 하나이다. 프랑스천주교선교사 코스트(한자명 高宜善)신부의 설계로 1897년에 처음 건립되었고, 1937년 코스트신부와 같은 소속인 P. 시잘레(한자명 池士元)신부의 설계로 증축되었다. 인천답동 성바오로성당 http://www.dapdong.or.kr/
점심식사(35분/6,000원)
답동성당에서 나와 근대건축전시관으로 가는 길에 신포국제시장을 지나면서 인천시 중구 우현로 39번길 ‘The 300g'(032-766-0079)집에서 김치찌개(6,000원)로 점심식사를 한다. 김치찌개안에 온통 고기천지다. 고기를 너-무 많이 넣어준다.
혜명박물관
구)일본제1은행(인천개항박물관)
일본제1은행(인천개항박물관)은 처음에 부산지점의 출장소로 출발하여 1889년 인천지점으로 승격되었고, 1909년 한국은행이 창립되면서 한국은행인천지점으로 바뀌었다. 1911년에는 조선은행으로 바뀜에 따라 조선은행이 되었다.
1899년에 211.57㎡(64평)의 석조단층으로 지은 이 건물은 모래·자갈·석회를 제외한 벽돌·석재·시멘트·목재 등 일체의 건축자재를 일본에서 들여왔고 바깥벽은 화강암을 다듬어 쌓고 처마 부조에는 둥근 구멍이 뚫린 파라펫 난간을 설치하였다. 지금은 인천한국근대최초사박물관을 조성하여 "인천개항박물관"으로 운영중이다.
인천중구 인천개항누리길 7.2km, 제3부 근대건축전시관-인천역까지
'2017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해안길17-19구간 53.5km길잡이 2017. 03/22.23 1박2일 (0) | 2017.04.01 |
---|---|
인천중구 인천개항누리길 7.2km, 제3부 근대건축전시관-인천역까지 2017. 03/14 (0) | 2017.03.20 |
인천중구 인천개항누리길 7.2km, 제1부 인천역-한미수교100주년기념탑까지 2017. 03/14 (0) | 2017.03.20 |
인천중구 인천개항누리길 7.2km길잡이 2017. 03/14 (0) | 2017.03.20 |
서울송파구 한성백제유적답사, 제3부 방이시장-잠실역까지 2017. 03/09 (0) | 2017.03.16 |